제조업 부도율 4~7%대로 치솟아...은행 "부실뇌관 집중관리"

[기업도 자영업자도 돈 빌리기 힘들어진다]
최저임금 3년째 오르고 주52시간 도입으로 내수 최악
자영업자 대출 405조 1년새 11%나 크게 늘어
부동산·임대업 등 개인사업자 대출 총량 규제 나서


3년 연속 최저임금 인상과 주 52시간 근로제 도입으로 내수경기가 최악의 상황을 맞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시중은행들이 내수업종 등 경기민감 업종을 중심으로 집중 여신관리에 돌입했다. 당장 여신을 회수하지 않더라도 신규 대출은 그만큼 줄어들게 되고 대출만기가 돌아오면 원리금 일부 상환 압박이 커질 수 있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전 금융권의 개인사업자대출은 405조8,000억원 규모로 1년 사이 11% 증가했다. 주력산업이 잘 나가고 내수가 좋으면 크게 문제 될 여신이 아니지만 주 52시간제 도입 등으로 저녁 회식 등이 급감하면서 음식점업이나 숙박업 등 경기민감 업종에 대한 여신관리가 불가피해졌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당장 자영업자 대출 부실화가 두드러지는 것은 아니지만 최근 1년 사이 4대 시중은행에서만 개인사업자 대출이 17조원 증가할 정도로 증가 속도가 가팔랐다”며 “편중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신규 대출 심사 강화가 불가피해진 만큼 자영업자 주력 업종 가운데서도 부동산임대업·음식점업 등 최근 대출이 집중적으로 늘어난 업종이 집중 관리 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도 자영업자 대출 부실화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은 0.75%로 3년래 최고치다. 특히 음식·숙박업(1.03%), 도·소매업(0.88%) 등은 올 들어 연체율이 꾸준히 높아지며 종전 최고치인 2015년 수준에 근접하고 있다.

시중은행들이 숙박업·부동산임대업·음식점업 등 자영업자 주력 업종을 내부 관리업종으로 지정하면서 자영업자의 대출 문턱은 지금보다 훨씬 높아지게 됐다. 시중은행들은 가계대출 총량규제로 대출을 늘리는 데 한계가 있는데다 영업도 우량대출 중심으로 서로 뺏고 뺏기는 출혈경쟁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다 보니 여신관리업종으로 지정되는 것만으로도 사실상 신규 대출이나 만기연장 등이 어려워질 수 있다.


매출부진으로 가뜩이나 원리금 상환에 차질을 빚고 있는 자영업자는 대출절벽에 몰릴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당국 차원에서 부동산임대업자 대출을 포함한 개인사업자 대출 총량 규제를 실시하면서 저신용·다중채무에 해당하는 자영업자들은 대출에 비상이 걸렸다.

시중은행들이 자영업자 대출을 조일수록 자영업자들이 고금리인 제2금융권으로 내몰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총량 규제로 개인사업자 대출이 제2금융권으로 유입되는 풍선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만큼 제2금융권의 관련 대출 증가 속도와 부실률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은행들이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음식·숙박업종 등을 관리업종에 포함시킨 가운데 숙박업체들이 밀집한 서울 마포구 노고산동의 한 모텔 골목에 적막감이 돌고 있다. /서울경제DB

그렇다고 은행에서 부실 가능성이 높아지는 자영업자에 대한 여신관리를 꼼꼼히 하지 않을 수도 없는 노릇이다. 자영업 대출 부실은 곧 은행부실로 이어지고 다시 시스템 위기로 번지는 악순환이 될 수 있어서다.

시중은행 리스크 담당 부행장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두 차례의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금융권이 얻은 교훈은 건전성을 최고의 목표로 두고 포트폴리오 관리를 엄격하게 한 은행만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것”이라며 “관리업종은 대부분의 시중은행이 엇비슷하지만 한도를 조절하며 집중 관리할 시점이나 업종별 비중을 정하는 것은 각 은행의 건전성은 물론 수익성과도 직결될 정도로 중요한 경영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은행들이 경기민감 업종에 대한 여신관리를 강화하고 나선 것은 해운·건설에 이어 조선·철강·자동차 등 주력산업의 부진으로 중소 협력업체들의 대출부실이 커지고 있어서다. 특히 내부수양의 수단이 됐던 건설산업에 대해 현 정부가 과거식의 부양정책에 반대하면서 올해도 건설업종은 집중 여신관리 대상에 올랐다. 조선·해운에 이어 건설업도 은행의 일종의 ‘블랙리스트’에 올라 있는 것이다. 관리업종에 지정되면 대출심사가 강화되고 은행 전체 대출 포트폴리오에서 한도를 조정하게 된다. 할당된 여신 규모 자체가 줄면 은행들로서는 옥석 가리기를 할 수밖에 없다. 자금 조달이 시급한 기업들부터 대출 문턱을 넘어서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09년 43조원에 달했던 건설업 대출 규모는 올 1·4분기 27조원으로 10년간 40% 가까이 쪼그라들었지만 여기서 더 쪼그라들 여지가 있는 셈이다.

자동차, 조선·해운, 건설업 등은 장기 침체로 은행 대출이 꾸준히 줄어들고 있다. 최근 1년간 은행 대출 규모가 꾸준히 줄어든 대표적인 업종은 의류제조업(-3.4%), 제1차 금속업(-3.1%), 자동차 및 트레일러(-1.4%), 기타 운송장비(-7.9%), 건설업(-2.4%) 등이다. 일부 업종은 지난해 4월부터 1년간 최대 7%대까지 대출 규모가 급감했다.

최근 최종구 금융위원장과 윤석헌 금융감독원장 등이 지방의 해운업과 자동차산업 중심지를 돌아다니며 금융지원 확대를 주문하고 있는 것도 은행의 여신관리가 너무 빡빡할 경우 과거와 같은 흑자도산 사태가 빚어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일부 은행에서는 올 들어 관리업종의 부도율이 4~6%대, 일부는 7%대까지 치솟았다. A은행의 경우 지난달 조선업 부도율은 6.55%로 전체 업종을 통틀어 가장 높았고 자동차(4.04%), 전자부품(4.33%), 건설업(4.10%) 등도 4%대로 치솟았다. /서은영기자 supia927@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