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잡 뛰는 강사·카페서 일하는 직장인...디지털이 바꾼 일자리

배달·강의·운송 등 국내 플랫폼 노동자 54만명
우버이츠 조사 결과, 장점 1위는 ‘시간 자율성’
시간·공간 제약 없는 리모트워크 도입하는 스타트업도 늘어


# 메이크업 강사 문예람씨는 재능공유 플랫폼 ‘탈잉’으로 수강생들을 모집해 1주일간 15~17회가량 메이크업 수업을 진행한다. 탈잉을 통해 중개되는 메이크업 강의수업료는 1인 기준 시간당 1만~5만원으로 다양한데 문씨는 시간당 2만5,000원~3만원 정도를 받고 있다. 처음엔 본업과 병행해 ‘투잡’으로 강의를 했지만 최근에는 탈잉뿐 아니라 다른 플랫폼에서도 강의를 열며 수업을 늘려나가고 있다. 문씨는 “처음에는 사람들과 재능을 공유할 수 있는 재밌는 경험을 하고 싶어 시작했지만 수업이 점차 인기가 많아지면서 일을 늘리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플랫폼 수업을 중심으로 여러 일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정보기술(IT)을 기반으로 한 플랫폼과 클라우드 등이 일상에 자리 잡으면서 과거와는 전혀 다른 형태의 일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익숙하지 않은 단어였던 ‘플랫폼 노동’은 최근엔 배달기사나 강사 등 여러 형태의 일자리에서 찾아볼 수 있게 됐다. 또 직장 사무실이 아닌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시간에 일을 할 수 있는 리모트 워크(Remote Work·원격 근무)를 시도하는 스타트업들도 늘어나고 있다.

우버이츠 배달 파트너가 편의점에서 상품을 전달받고 있다./사진제공=우버코리아

◇어느덧 54만명 플랫폼 노동자 = 플랫폼 노동은 애플리케이션이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 특정 플랫폼을 통해 일거리를 받아 서비스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미 배달의 민족·쿠팡·우버이츠 등을 이용한 배달업무에서부터 탈잉·크몽 등을 통한 재능 공유, 타다 등 모빌리티 플랫폼을 활용한 운송업까지 다양한 일자리가 나타나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국내 플랫폼 노동자는 전체 취업자 대비 1.7~2.0% 수준인 47만~54만명에 달한다.


오전9시 출근-오후6시 퇴근 정규직 일자리를 위한 근로기준법을 적용할 수 없는 일이다 보니 플랫폼 노동의 장·단점은 명확하게 갈린다.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히는 것은 일의 자율성이다. 실제로 우버코리아가 7월 초 배달대행 서비스 우버이츠 ‘배달 파트너’ 중 300여명에게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 같은 장점을 활용해 약 60% 가량이 배달일을 본업이 아닌 부업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시간·요일에 관계없이 자율적으로 일을 할 수 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한 배달 파트너는 “(우버이츠 플랫폼을 통한 배달은) 시간이 날 때, 내가 원할 때 할 수 있어서 좋다”고 말했다.

하지만 자율성은 동전의 양면처럼 불안정성과도 연결된다. 플랫폼 노동은 자영업자로 분류되기 때문에 소득이나 고용 안정성을 보장받지 못하며 보험 등 사회안전망에서도 배제되는 경우가 많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용보험 가입 대상을 특수고용노동자로 확대하는 내용의 ‘고용보험법’ 개정안이 지난해 11월 발의됐지만 아직까지 국회에 계류 중이다. 개정안이 통과되더라도 보험설계사와 학습지 교사, 택배 기사 등 일부 직종만 먼저 가입이 허용될 뿐 다른 플랫폼 노동자들은 이후에야 포함될 전망이다.

지난 4월 서울 디캠프에서 열린 ‘리모트워크로 스타트업 밋업’ 참석자들이 리모트워크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사진제공=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시간·공간 제약 사라진 리모트 워크 = IT 기술은 일자리뿐만 아니라 일을 하는 방식에도 변화를 만들어냈다. 최근 스타트업들은 클라우드 기반 인프라와 업무용 메신저 슬랙 등을 이용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일을 하고 있다. 비즈니스 네트워크 플랫폼인 ‘로켓펀치’는 15명의 직원들이 서울과 인천, 제주, 미국 뉴욕, 일본 도쿄, 호주 시드니 등 곳곳에서 원하는 시간에 일을 한다. 사무실도 없고 꼭 지켜야 하는 하루 업무 시간도 없다. 일반적인 기업들은 직원이 몇 시에 사무실로 출근해 몇 시간 동안 일을 했는지 평가한다면 로켓펀치는 업무의 과정과 결과를 모니터링한다. 조민희 로켓펀치 대표는 “자신이 할 일에 대해 자유롭게 일정을 세우고 업무를 하면 되기 때문에 눈치 볼 일도 없고 만족도가 올라가게 된다”고 밝혔다.

리모트 워크는 직원들 입장에선 출퇴근에 얽매일 필요 없이 자유롭게 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업 역시 여러 지역에서 인재를 채용할 수 있는 기회가 넓어지게 된다.

모든 인력과 자원이 서울에만 집중되는 상황에서 지방에서도 리모트워크를 중소도시를 살릴 수 있는 방안으로 주목하고 있다.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는 공유오피스 ‘제이 스페이스(J-Space)’를 제공하고 제주에서 일하기 좋은 카페를 소개해주는 ‘리모트워커스 맵’을 만드는 등 리모트워크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지원을 이어오고 있다. 전정환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장은 “제주는 많은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지만 섬이라는 한계가 있기도 하다”라며 “리모트워크를 통해 제주 기업이 타지역의 인력을 지역에 상관없이 고용하거나 제주의 인재가 삶의 기반을 옮기지 않고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권경원기자 nahere@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