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훈 전 주일대사 "1+1안 기초로 한일 정부 접점 찾아가야"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포럼서 강조
"한일 정부 협의로 징용문제 해법 찾아야"

이수훈(가운데) 경남대 교수가 8일 극동문제연구소에서 열린 통일전략포럼에서 한일관계 해법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사진제공=극동문제연구소

주일 한국대사를 역임한 이수훈 경남대 교수는 8일 “한일 정부가 협의를 통해 징용 문제의 해법을 만들어내야 한다”며 “우리 정부가 6월 19일 제안한 방안을 기초로 두 정부가 접점을 찾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소위 ‘1+1안’으로 불리는, 한일 양국 기업이 자발적으로 재원을 조성해 피해자들에게 위자료 지급하는 방안을 협상 테이블에 기본으로 올려놓은 후, 양국이 함께 접점을 찾아가야 한다는 게 이 교수가 제안한 해법이다.

이 교수는 이날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가 ‘한일관계 어떻게 풀어야 하나’를 주제로 진행 된 제64차 통일전략포럼에서 일본 정부의 일방적 수출제한조치를 “한일 경제전쟁”으로 규정하며 이같이 말했다.


이 교수는 최근의 한일 갈등 국면에 대해 “아베 정부가 과거사에서 비롯된 감정을 경제분야로 표출시킨 데서 비롯됐다”며 “아베 총리와 (총리) 관저가 주도한 이(수출제한) 조치의 바탕에는 위안부 합의 파기, 대법원의 징용 판결이 자리잡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교수는 “지금과 같이 (일본 정부의) 고압적이고 일방적인 자세로는 외교적 해법을 찾을 수 없다”면서 한국 정부가 제안한 1+1안에 대해 일본 정부가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포럼에는 이원덕 국민대 교수, 조진구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등도 토론에 참여했다. 이 교수는 한국 정부가 제안한 한일 기업 공동 기금 조성 방안에 “한국정부의 적극적 역할이 추가돼 진전된 안이 마련된다면 협상이 어느 정도 가능할 수도 있다”는 의견을 내놨다.

조 교수는 불필요한 감정적 대응에 대해 우려를 표시하기도 했다. 조 교수는 “양국의 책임 있는 당국자나 정치 지도자들은 감정적이고 자극적인 언행들을 자제해야 한다”며 “일본 내 양심적인 소수파와의 연대와 더불어 일반적인 일본 국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공공외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영현기자 yhchung@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