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성진 조인에셋글로벌자산운용 운용대표
8월 글로벌 주식시장은 무역갈등이 격화되면서 동반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7월 말 미중 고위급 회담이 노딜로 끝나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오는 9월부터 3,000억달러 규모의 중국 수입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고 8월6일에는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는 강수를 뒀다. 글로벌 주식시장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나 하락의 강도는 미미하다. 중앙은행의 금리정책이 지난해 긴축에서 올해는 유동성 완화로 전환됐기 때문이다. 무역갈등의 강도가 높아질수록 역설적으로 유동성 완화는 더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가 7월에 이어 9월에도 단행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지난해와는 다르게 무역갈등이 증폭될 경우 글로벌 주식시장이 동반하락하고 갈등이 해소될 경우 같이 오르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미국 증시는 무역갈등 이슈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을 확실히 드러냈다. 이로 인해 지난주 트럼프는 10% 관세부과 대상에서 핸드폰·노트북·완구 등 57%의 품목 관세를 12월로 연기했다. 주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주식시장의 반등은 미미하다. 뉴스만 보면 글로벌 공포는 점차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앙은행의 유동성 완화정책 △낮은 실질금리 △정부의 경기 진작 효과 △선반영된 낮은 주가 수준 △낮은 밸류에이션 등에 의해 주가 변동성이 대폭 낮아졌기 때문이다.
미중 무역전쟁이 장기화되면서 미국과 중국은 확실한 대응전략을 가지고 장기전에 대비하고 있다. 미국은 장기간 누적된 무역적자와 재정적자로 인해 달러를 발행해 소비를 늘리는 경제모델이 한계에 달했음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재정수입을 늘리기 위해 리쇼어링을 통한 제조업 강국 모델을 재건하고 무역전쟁을 통해 무역 불균형을 해소하고자 한다. 문제는 이런 전략변화의 효과가 장기간에 걸쳐 나타난다는 것이다. 장기적으로 미국의 정책변화는 대통령이 바뀌어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단기적 처방으로 금리 인하 유도 정책을 선택했다. 22조달러에 이르는 부채한도와 재정지출의 8%에 이르는 이자비용 부담을 낮추기 위해 실질 금리를 지속적으로 낮추는 전략이 최선의 방안이기 때문이다. 장단기 금리 역전에 의한 주식시장의 반응은 과잉반응으로 평가한다.
중국은 투자와 수출모델로 성장을 이끌어왔다. 그러나 미국이 보호무역으로 전략을 바꾼 이상 현재의 성장모델을 끌고 갈 수 없다. 중국은 고육지책으로 내수소비 성장모델을 선택했다. 감세와 도시화, 소비부양책을 통해 소비시장을 키우고 있다. 무역전쟁이라는 단기적 위험에 대비해 재정지출 확대를 통한 인프라 투자를 늘리고 있다. 중국이 가지고 있는 위험 변수는 기업부채 위험과 외환보유액 감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금융시장을 개방하고 직접금융시장의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 무역전쟁에 대비해 양국이 택한 정책적 방향은 장기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양국의 경기가 급랭하던가, 주가가 폭락하는 위기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는 무역협상이 적극적으로 모색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