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45년이면 한국이 일본을 제치고 전 세계에서 가장 ‘늙은 나라’가 된다는 공식 통계가 나왔다. 2067년에는 인구 10명 중 절반에 가까운 4.7명이 노인인 나라가 된다.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저출산 재앙에 생산활동을 담당하는 생산연령인구 100명 당 고령 인구(노년부양비)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 된다. 한국경제의 성장을 가로막는 ‘저출산·고령화의 재앙’이 눈앞에서 벌어지는 것이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에 따르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중은 2045년 37%로, 일본(36.7%)을 앞지르게 된다. 2019년 현재 고령 인구 비중은 한국이 14.9%고, 일본은 세계에서 가장 큰 28%다. 전 세계 인구 가운데 고령 인구 비중은 9.1%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현재 우리나라의 고령 인구 비중은 높은 편이 아니지만 단기간에 고령 인구가 급증하기 때문에 고령화 속도는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3월 통계청은 장래인구 특별추계(2017~2067년)를 발표한 바 있는데, 이날 내놓은 통계는 이를 지난 6월 공표된 유엔(UN)의 세계인구전망과 비교한 것이다. 오는 2067년이 되면 우리나라 고령 인구 비중은 46.5%에 달하게 된다. 인구 100명 당 47명꼴로 노인이라는 의미다. 전체 인구에서 노인 비중이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라고 하는데, 이를 압도한다. 2067년까지 세계적으로 고령 인구 비중이 2배(9.1%→18.6%) 늘어날 때 우리나라는 3배(14.9%→46.5%)나 급격하게 불어나는 결과다.
심각한 건 경제 성장의 원동력인 생산연령인구(15~64세) 비중이 여타 주요국과 비교했을 때 더 급격하게 쪼그라든다는 점이다. 이는 경제 성장에 직접적인 타격을 준다. 현재 우리나라의 생산연령인구 비중은 72.7%지만 2067년에는 45.4%까지 줄어든다. 일본의 생산연령인구 비중이 같은 기간 59.4%에서 50.4%로, 중국은 67%에서 64.1%로 줄어들며 우리나라를 앞서게 된다. 전 세계적으로도 65.3%에서 61.7%로 줄어드는 데 그친다.
생산 활동을 담당하는 생산연령인구는 줄고, 고령 인구가 늘면서 노인부양비(생산연령인구 100명 당 고령 인구)도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는다. 현재 20.4명인 노인부양비는 2067년 102.4명으로 5배 커진다. 인구학자인 조영태 서울대 교수는 “우리나라 인구구조 변화의 문제는 그 변화가 너무 급격하다는 것”이라면서 “성장 위주의 제도와 정책 등 사회 구조가 인구구조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고 말했다.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의 인구 순위는 2019년 28위에서 2067년 56위로 밀려난다./세종=한재영기자 jyhan@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