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창] 은퇴 이후 살아남으려면 장기투자 나침반이 필요하다

켄트 하기스 AB 전략핵심주 공동 CIO

켄트 하기스 AB 전략핵심주 공동 CIO

세계적인 고령화 추세로 은퇴 이후 자산관리를 위한 새로운 투자 전략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은퇴자들은 더 많은 돈을 필요로 하지만 저축해 놓은 돈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실제로 세계경제포럼(WEF)의 조사에 따르면 호주·캐나다·중국·일본·미국·영국 등 80개 국가 은퇴자들의 은퇴 이후 필요 금액과 현재 저축액의 차이를 뜻하는 ‘세이빙 갭(Saving Gap)’은 지난 2015년 70조달러에서 오는 2050년 400조달러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문제는 지나치게 빨리 리스크를 회피하려는 투자자에게서 더 두드러진다. 은퇴준비를 위해서는 투자자가 젊을수록 적극적인 투자를, 투자자가 고령일수록 보수적인 투자를 권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투자 전략을 전환하는 타이밍이다. WEF의 관련 연구는 주식, 리츠(REITs), 하이일드 채권 및 이머징마켓 채권 등 ‘수익-추구 자산(return-seeking assets)’의 비중을 너무 빨리 줄이면 은퇴 준비자금이 급격하게 감소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렇다면 은퇴자의 장기적인 자산관리를 위한 고려 요소는 무엇일까.

첫번째는 변동성 위험 관리다. 일반적으로 25~45세의 투자자들이 직면한 가장 큰 위험은 주요 소득이 있을 때 투자를 통해 충분한 수익을 창출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가급적 주식 투자 비중을 늘리고 시장 상황에 일희일비하지 않는 것이 이 연령대의 사람들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투자 원칙이다. 은퇴 시점이 얼마 남지 않은 투자자들의 경우 은퇴 직전 시장의 상·하방 위험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이들은 자산의 손실을 만회할 만한 시간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변동성이 높아진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수익률을 추구하는 전략에는 ‘로우볼(Low vol) 전략’이 있다. 펀더멘털 리서치를 기초로 안정적이고 우량한 기업에 선별 투자함으로써 변동성을 제한하는 이 전략은 어려운 시장 상황 속에서 손실폭을 제한하면서도 적극적인 시장 참여를 가능하게 한다.

두번째 고려 요소는 수익 추구 및 자본의 보호이다. 소비 성향이 강한 은퇴 초기에는 수익을 축적할 수 있는 투자자산에 다이내믹하게 분산 투자함으로써 은퇴 이후 줄어든 수익의 일부를 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동산이나 특정 옵션 전략 등과 같은 비전통적 자산에 투자하면 전통적 자산(주식·채권)과의 낮은 상관관계로 시장이 어렵더라도 포트폴리오에 안정성을 보완해줄 수 있을 것이다.

또 은퇴 후기로 접어들수록 저축자들은 저축으로 얻은 인컴뿐만 아니라 투자된 자본까지 소비하는 경우가 늘어남에 따라 이를 보존하는 것이 투자자의 가장 중요한 목표가 된다. 이 시점에는 인플레이션 방어에 초점을 맞춰 채권 투자 비중을 크게 늘리는 전략이 도움이 될 것이다. 이처럼 역동적이며 유연한 멀티에셋 전략을 통해 투자자들은 은퇴 이후의 리스크에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은퇴 이후 삶을 위한 투자 전략의 핵심은 자신의 상황에 맞춰 기민하게 행동하는 것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변동성을 최소화하면서 가능한 오랫동안 성장 자산에 대한 익스포저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 가지 전략만을 유지하는 것이 더 쉬워 보일 수는 있지만 과거보다 긴 은퇴 생활을 하게 될 은퇴자들의 소비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사전적으로 적극적인 자산관리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