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광주 동구 문빈정사 극락전 앞에서 지난 11일 별세한 ‘비전향 장기수’ 고(故) 서옥렬씨의 영결식이 엄수되고 있다. /광주=연합뉴스
광주·전남 지역 마지막 ‘비전향 장기수’ 고(故) 서옥렬씨의 영결식이 14일 광주 동구 문빈정사 극락전 앞에서 엄수됐다. 비전향 장기수란 사상 전향을 거부한 채 수십년간 복역한 인민군 포로 등을 뜻한다.
가족이 없는 서씨의 영결식은 시민사회단체의 민족통일장으로 치러졌다. 장례위원장을 맡은 김정길 6·15 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 광주전남본부 상임대표는 “지척에 두고도 가지 못하는 그곳을 그리며 얼마나 많은 통곡을 하셨느냐”며 “당신의 통곡은 분단 조국의 통곡이며 당신의 분노는 냉전 시대에 사는 모든 이들의 분노였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남 신안 출신인 서씨는 고려대 경제학과에 재학 중이던 1950년 6·25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학도병으로 북한 인민군에 편입돼 참전했다. 휴전 이후 북한에서 생활한 서씨는 1961년 부인과 자녀를 두고 고향으로 내려와 가족들과 만난 뒤 다시 월북을 시도하다 체포됐다. 그는 동생들을 포섭하고 정보 수집 등 첩보 활동을 한 혐의(국가보안법 위반)로 1심에서 사형을 선고받았지만 2심에서 무기징역으로 감형돼 1990년까지 29년 동안 복역했다.
1993년 비전향 장기수 고 이인모씨의 송환 이후 2000년 비전향 장기수 63명이 송환됐으나 서씨는 전향수로 분류돼 북으로 돌아가지 못했다. 노무현 정부 시절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가 ‘강압과 고문에 의한 전향은 무효’라는 판단을 내리면서 서씨 등 북송을 희망하는 비전향 장기수 27명은 시민사회와 함께 송환을 요구해왔다.
노환으로 건강 상태가 나빠진 서씨는 지난 11일 향년 92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광주=김선덕기자 sdkim@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