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랙티브]“감정 부딪히기 싫어요” 진화하는 대행서비스업


#헤어지자고 통보한 남자친구를 붙잡고 싶던 A씨(21)는 ‘무엇이든 해결해준다’는 광고를 보고 반신반의 끝에 전화해보기로 했다. 대행사는 “A씨의 지인으로 연기해 남자친구에게 A씨가 굉장히 힘들어하고 있다고 전하겠다”고 말했다. A씨는 남자친구의 번호를 직원에게 연결해줬고, 며칠 뒤 “너가 너무 힘들어한다는 얘기를 들었다. 그럼 조금 더 만나보자”는 남자친구의 답변을 받았다. 직접적인 감정 접촉 없이 원만히 일을 해결한 A씨는 직원에게 “당신 덕분이다. 고맙다”고 전했다.

#상사와의 불화로 직장을 옮기고 싶은 B씨는 퇴사 방법을 고민하던 도중 지인의 추천으로 ‘퇴사 대행 서비스’를 찾게 됐다. 직접 얼굴 보고 사표를 내지 않아도 된다는 직원의 안내에 B씨는 사표 처리를 대행해줄 것을 부탁했다. 직원은 B씨 대신 인사팀 담당자와 직접 통화해 위임 사실을 밝히고 B씨의 사직서를 우편으로 발송했다. 짐은 택배로 받고 사표 처리가 수리된 것을 확인한 뒤 A씨는 직원에게 사례금을 지급했다.


‘무엇이든 대신해드리는’ 역할 대행 서비스가 진화하고 있다. 빨래, 설거지 등 전반적인 집안일을 대신해준 청소 대행업은 이제 일상 속으로 더 스며들었다. 한 생활 밀착형 서비스 업체는 ‘모든 심부름을 20분 이내에, 2,000원부터’를 콘셉트로 생활 쓰레기 배출, 음식 배달, 편의점, 우체국 대신 가기 등 사소하지만 직접 움직여야 하는 귀찮은 집안일을 대신해준다. 음식물 쓰레기를 버려주는 건 2,000원, 일반 분리수거는 3,000원이다. 집사로 불리는 직원들이 아파트 단지 내 상가에 상주해 평균 20분 내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지난해 1만 세대 서비스로 시작한 업체는 올해 말 30만 세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약속된 시간에 집으로 찾아와 빨래를 수거한 뒤 24시간 내에 세탁된 옷을 가져다 놓는 앱도 인기다. 세탁기·건조기가 없는 1~2인 가구를 주요 타겟으로 삼았다. 업체는 “시간과 공간을 더 잘 활용할 수 있는 요즘 트렌드”라며 “공유 주택들도 많아지면서 제휴 문의를 많이 해오고 있다”고 말했다.


생활 속 노동이 아닌 ‘감정’ 노동까지 대신하는 업체도 등장했다. ‘이별 대행 서비스’는 애인과 이별을 위해 대행 직원이 전화로 메시지를 통보한다. 남의 목소리를 이용하는 거지만 이용자들은 개의치 않는다. 아버지, 엄마 등 가족 역할을 대행해 주기도 한다. 아빠 목소리로 둔갑한 직원은 이용자의 애인에게 전화해 핑계 거리를 만들어주고 이별 절차를 밟는다. 해당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사이트는 “부모 대행, 선배 대행 등 각종 역할을 대신해 드립니다”라며 “다년간의 노하우로 절대 들통 나지 않을 것”이라고 홍보한다.

인생을 대신 살아준다는 느낌이 들 만큼 서비스 영역도 세부적이다. 사이트를 방문하면 ‘자존심, 체면 지키기’, ‘외박상황 연출 대행’, ‘질투심 유발 대행’, ‘영웅 만들기 대행’, ‘마음 떠보기 대행’ 외 셀 수 없이 많은 상황 옵션이 있다. 이용자는 사이트에서 원하는 대행 서비스를 고른 뒤 카카오톡을 통해 대표에게 자신의 상황을 전달하면 된다. 가격은 6만~10만원 선. 최근 증가세를 보이는 것은 퇴직 대행 서비스다. 전화로 퇴사의사를 전달하거나 인사팀과 미팅을 하는 형태로, 상담과 사직서 수령, 대리 제출, 체불 임금 정산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업체는 “회사나 상사로부터 피로도가 쌓인 20~30대 여성들이 주요 고객층”이라고 귀띔했다.

물론 부작용도 있다. 개인정보 유출이 대표적인 사례다. 한 서비스 이용자는 “나는 신분이 노출돼 있지만 대행 직원은 어떤 사람일지 몰라서 불안하기도 하다”며 “내 개인정보가 나중에 어떻게 이용될 지는 알 수 없는 일”이라고 걱정했다. 대행 직원의 업무 범위도 논란이다. 대행서비스 업체 직원인 김모 씨는 “남성고객으로부터 ‘성관계도 가능하냐’는 문의를 받을 때는 난감하다”고 말했다.

역할 대행서비스의 확산은 상대와 감정적 접촉을 꺼리는 젊은 세대의 심리에 기반을 두고 있다. 올해 2030 키워드로 ‘감정대행인’을 꼽은 김난도 교수는 “디지털 환경의 발달로 자신의 감정을 스스로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이들이 늘어났다”라며 “감정대행은 본능적이고 삶에 필수적인 감정을 타인에게 맡기는 행위”라고 설명했다. 취업포털 커리어는 지난 6월 직장인 10명 중 9명이 ‘전화공포증’을 겪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직장인 336명 중 91.1%가 ‘전화 공포증을 겪고 있다’고 답했으며, 이들 절반은 ‘전화 통화가 어려운 이유’로 ‘혹시라도 말실수를 할까봐(53.9%)’를 1위로 꼽았다. 이어 ‘말을 잘 못해서(26.8%)’, ‘문자·카카오톡·메일 등 글로 의사소통하는 것에 익숙해서(15.4%)’, ‘중간중간 대화 공백이 생기는 것을 참을 수가 없어서(3.3%)’ 순이었다. 또 직장인 77.7%는 ‘모바일 메신저(카카오톡)’ 사용으로 이전보다 상대와 직접 대면하거나 전화하는 횟수가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직장인 한(32) 씨는 “직접 보고 말할 때 본심을 잘못 전달한 경우가 많았다. 메신저로 압축해 보내면 감정도 흔들리지 않아서 더 편하다”고 대답했다.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 전미영 교수는 “어릴 때부터 부모가 다 해줘 버릇 하다 보니 약한 마음 근육의 소유자가 늘어나고 있는 현상으로도 볼 수 있다”며 “일부는 ‘감정의 수호천사’라고 표현하기도 하지만 감정 관리에 대해 전문가들이 말하는 바는 하나, 자신의 감정과 마주하라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정수현기자 value@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