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진은 물옥잠이 동의보감에서 약재로 사용했다는 것에 착안했다. 물옥잠의 생리활성 물질이 실제로는 공생하는 미생물에서 나올 것이라고 예상하고 2018년부터 관련 연구를 진행했다.
이에 낙동강에 서식하는 물옥잠에서 공생 미생물 총 74 균주를 분리하고 다양한 효능을 평가했다.
물옥잠의 뿌리에 공생하는 미생물의 분리과정에서 신종으로 추정되는 마이크로모노스포라 속 미생물을 확인했으며, 신종 미생물 배양액을 이용해 항암 활성을 평가했다.
이번에 발견한 신종 미생물을 25℃에서 2주간 배양하고 배양액을 이용해 흑색종 세포(B16-F10), 백혈병 세포(U937), 전립선암 세포에 대한 항암 활성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 신종 미생물의 배양액을 100㎍/ml로 처리했을 때 전립선암 세포를 약 50% 죽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립선암 세포에 대한 항암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이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한 국내 특허를 올해 8월 ‘항균 및 항암 기능을 가지는 물옥잠 분리 마이크로모노스포라 속 엠(M)2 균주 및 이외 용도’라는 이름으로 출원했다.
이와 함께 항암 효과가 확인된 이번 신종 미생물 배양액에서 항암 물질의 분리, 구조 분석, 기작 연구 등 식 의약품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정남일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미생물연구실장은 “이번 연구는 생물 소재 연구의 대상을 담수 유래의 공생 미생물로 확대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상주=이현종기자 ldhjj13@sedaily.com
물옥잠에서 발견한 전림선암 세포를 죽이는 효과가 큰 것으로 밝혀진 미생물을 확대한 사진
수생식물인 물옥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