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현 첩보 백원우가 넘겼다"…입 열린 박형철, 靑선거개입 수사 '키맨'?

"유재수 감찰 중단 조국이 지시" 진술도
靑에 사표내고 '친정' 檢쪽으로 돌아섰나

지난 5월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 참석한 박형철(왼쪽) 반부패비서관과 조국 당시 민정수석. /연합뉴스

“김기현 시장 첩보는 백원우 비서관이 넘겼다.” “유재수 감찰 중단은 조국 수석의 지시였다.”

28일 법조계에 따르면 박형철(51) 청와대 반부패비서관은 최근 검찰 조사에서 김기현 전 울산시장에 대한 수사를 촉발한 첩보를 백원우 전 청와대 민정비서관이 전달했다고 진술했다. 검찰은 청와대 근처에서 박 비서관을 만나 참고인으로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비서관은 청와대에 사표를 낸 것으로 알려진 상태다.


검찰 출신인 박 비서관이 검찰 조사에 적극적인 태도로 임하며 핵심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한 검찰 관계자는 “‘친정’을 잘 알기에 다 털어놓더라”라며 “혼자 총대 매는 상황을 피하려는 것 아니겠느냐”라고 전했다. 검찰이 ‘하명수사’ 의혹과 관련해 청와대 윗선까지 겨눈 상황에서 현직 반부패비서관의 진술이 결정적 증거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검찰은 6·13지방선거를 앞두고 현직 선출직 공직자에 관련된 비리 첩보를 통해 사실상 야당 후보에 대한 ‘하명(下命) 수사’가 이뤄진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박 비서관은 유재수 전 부산시 경제부시장에 대한 감찰이 민정수석실에서 무마됐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입을 열었다. 감찰 중단을 지시한 인물이 민정수석이던 조 전 장관임을 인정한 것이다. 당시 특감반원들 역시 최근 서울동부지검 조사에서 “2017년 11월 조국 수석, 백 전 비서관, 박 비서관 세 사람이 모인 회의에서 (감찰 무마가) 결정됐다”고 진술했다.

황운하 당시 울산지방경찰청장(현 대전지방경찰청장)에 대한 직권남용 고소 등 관련 사건을 이첩받은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2부(김태은 부장검사)는 기존에 울산지검에서 확보한 자료를 분석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검찰은 더불어민주당 산하 민주연구원 부원장인 백 전 비서관과 함께 김 전 시장 관련 첩보를 처음 생산한 것으로 의심받는 경찰 관계자 등을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오지현기자 ohjh@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