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3년내 세계3대 화장품 수출국으로"

[복지부 'K뷰티 육성방안' 발표]
기초소재 개발에 R&D투자 확대
명동·강남에 K뷰티 홍보관 신설
개발서 컨설팅까지 클러스터 구축
2022년까지 수출 79억弗 달성
맞춤형 화장품제도 세계 최초 시행
수출 애로 '제조자 표기의무' 삭제

박능후(앞줄 가운데) 보건복지부 장관이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K-뷰티 미래 화장품산업 육성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화장품 산업을 신성상 수출 주력산업으로 키우기 위해 화장품 기초소재 분야에 대규모 연구개발(R&D) 투자를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중소기업 브랜드 경쟁력 약화의 원흉으로 지목됐던 제조자 표기의무가 사라지며, 세계 최초로 고객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하는 맞춤형 화장품 제도가 내년 3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서울 명동과 강남 등에 ‘K-뷰티 홍보관’이 신설돼 중소기업 화장품을 구매하고 메이크업을 체험할 기회도 제공되는 한편 화장품 연구개발부터 컨설팅까지 원스톱으로 해결될 수 있는 K-뷰티 클러스터도 구축된다. 정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화장품 수출 규모를 오는 2022년까지 79억달러로 끌어올려 우리나라를 ‘세계 3대 화장품 수출국’의 반열에 올리고, 일자리 7만3,000여개를 신규 창출한다는 구상이다.

보건복지부는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의 ‘K-뷰티 미래 화장품산업 육성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크게 △연구개발 △규제혁신 △브랜드 제고 △거점체계 마련 등 4가지 방안으로 구성됐다. 우선 정부는 계면활성제 등 수입 의존도가 높은 화장품 기초소재를 국산화하고, 나고야 의정서에 대응해 자생 천연 생물 소재를 국산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내년도 예산안을 77억원 편성했으며, 앞으로도 대규모 R&D 투자를 지속해서 확대할 방침이다. 투자 확대를 통해 2018년 기준 세계 수준 대비 86.8%인 우리 화장품 기술 수준을 2030년까지 95%까지 끌어올리고, 일본 원료수입 비중을 2018년 23.5%에서 오는 2022년까지 18%로 낮춘다는 목표다.


중소 브랜드 기업의 해외진출 발목을 잡던 규제도 혁파된다. 정부는 혁신기술을 보호하기 위해 내년 중 제조자 표기의무를 삭제하기로 했다. 제조자 표기의무로 인해 해외기업에 제조자 정보가 공개돼 유사제품이 늘고 중소기업의 브랜드 경쟁력이 떨어져 수출이 감소하는 문제가 빈번해지자 규제 제거에 나선 것이다. 정부는 지난 10월 제조자 표기의무는 삭제하되 자율적으로 추가 표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내용의 ‘화장품법 개정안’을 발의한 상태다.

개인별 피부진단을 통해 고객 맞춤형으로 화장품을 만드는 맞춤형 화장품 제도도 내년 3월 세계 최초로 신설·시행된다. 개인의 피부 상태와 선호도를 반영해 고객 맞춤형으로 판매장에서 화장품을 혼합해 제공하는 방식으로, 정부는 ‘조제관리사’ 제도가 도입돼 최소 5,000명의 신규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남방 등 신흥 유망국 진출 확대를 위해 홍보장소도 대거 확보된다. 정부는 서울 명동·강남 등 외국인들이 많이 모이는 지역에 ‘K-뷰티 홍보관’을 신설해 한국 메이크업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계획이다. 또 K-뷰티 산업육성을 위한 원스톱 인프라도 구축된다. 정부는 민·관 협의를 통해 화장품 생산부터 신기술 R&D, 종합컨설팅, 안전성 평가·인증 등을 한 곳에서 해결할 수 있는 ‘K-뷰티 클러스터’를 구축할 예정이다.

정부는 화장품 산업 전주기에 걸쳐 지원을 강화하는 이번 대책을 통해 오는 현재 우리나라에 4곳인 글로벌 100대 화장품 기업을 오는 2022년까지 7곳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또 지난해 기준 63억달러로 4위인 화장품 수출국 순위를 2022년까지 79억달러로 3위로 끌어올리는 동시에 신규 일자리도 7만3,000개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박능후 복지부 장관은 “이번 대책을 통해 우리 화장품 업계에 필요한 부분을 채워준다면 K-뷰티 산업은 앞으로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