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은 국내 산업계, 학계, 연구원 등에서 AI 관련 연구를 하는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AI 인재 현황 및 육성 방안’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AI 산업을 선도하는 미국의 AI 인재 경쟁력을 10으로 볼 때 한·중·일 3국의 AI 인재 경쟁력 수준은 각각 5.2(한국), 6.0(일본), 8.1(중국)로 평가됐다.
한경연은 “우리나라의 AI 인재 경쟁력은 미국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며 “AI를 국가 전략산업으로 지정해 정부 주도의 대규모 투자를 추진 중인 중국과도 상당한 격차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경연의 설문에 응한 한 전문가는 “국내에서 배출되는 AI 인력도 국내에 머물지 않고 미국, 유럽, 중국행을 택한다”며 “AI 산업이 활성화돼 사람도 많이 뽑고 연구 및 실무 경험의 기회도 많은 이들 국가와 달리 우리나라는 매력적인 시장이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한경연의 조사 결과 AI 인력 부족률은 평균 60.6%로 나타났다. 필요인력 10명 중 4명밖에 충당되지 않는 셈이다. 전문가들은 AI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확보하기 위해 국내외 AI 석박사 채용(89.3%·복수응답), 재직자 AI 교육(75%), 대학 연계 프로그램 개발(46.4%), 국내외 AI 기업 인수(17.9%), 해외 연구소 설립 또는 인수(17.9%) 등이 필요하다고 봤다.
이들은 AI 인력을 확보하는 데 가장 큰 애로 요인으로 실무형 기술인력 부족(36.7%·2순위까지 복수응답), 선진국 수준의 연봉 지급 어려움(25.5%), 대학원 등 전문 교육기관 및 교수 부족(22.2%), 근로시간 등 경직된 근무환경 및 조직문화(6.7%) 등을 꼽았다.
한경연은 “AI 인재 육성은 장기간의 시간과 예산이 소요되는 정책이므로 초·중·고교와 학부에서부터 기초교육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면서 “데이터 활용 규제, AI 전공 교수 겸직 제한 등 기술혁신과 신산업 창출을 저해하는 규제 완화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효정기자 jpark@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