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오후 서울 서초구 예술의 전당 CJ토월극장에서 뮤지컬 ‘빅피쉬’ 프레스콜이 진행됐다. 배우 남경주 손준호 박호산, 김지우 구원영, 김성철 이창용, 김환희 등이 참석해 작품에 관한 이야기를 나눴다.
CJ ENM이 글로벌 공동 프로듀싱한 뮤지컬 ‘빅피쉬’는 대니얼 월러스의 원작 소설(1998)과 팀 버튼 감독의 영화(2003)를 원작으로 한다. 뮤지컬로는 2013년 미국 브로드웨이에서 첫 선을 보인 이후 6년 만에 한국 버전으로 선보인다.
연출가 스캇 스왈츠
작품은 가족을 위해 위대해질 수 밖에 없었던 허풍쟁이 아버지 ‘에드워드’의 과거와 현재, 상상을 오가는 놀라운 이야기로 ‘인생’ 그 자체의 벅찬 메시지를 전한다.
스토리는 뮤지컬과 영화가 유사하지만 차별점 역시 있다. 영화 ‘빅 피쉬’는 두 명의 배우가 각각 청년 ‘에드워드’와 현재의 중년 ‘에드워드’를 연기하는 반면 뮤지컬 ‘빅 피쉬’는 한명의 배우의 세월의 흐름을 연기한다. 남경주, 박호산, 손준호의 3인 3색 ‘에드워드’를 만날 수 있다. 극중 ‘에드워드’는 젊은 시절의 에너지와 노년의 절망까지, 10대부터 70대까지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주어야 하는 입체적인 캐릭터로 새로운 인물의 탄생을 예고한다.
남경주는 “난 에드워드 역할을 하면서 내 인생과 맞닿는 점을 발견했다. 내가 와이프를 만났을 때, 에드워드가 산드라를 만났을 때와 비슷하다. 아내가 내 팬이었는데 사인을 해주다가 세상이 멈춰버린 느낌을 받았다. 정서적으로, 감정적으로 또 스토리도 잘 맞는다고 느꼈다. 마치 제 옷을 입은 듯 밀도가 느껴지는 신들이 많았다”고 벅찬 소감을 전했다.
또 다른 에드워드 박호산은 실제로 자신의 아버지가 뮤지컬 관람을 와서 눈가가 촉촉한 채로 돌아갔다는 일화를 전하기도.
가장 젊은 에드워드 역의 손준호는 “진짜 아들에게 하는 것처럼 느껴서 어색함이나 이질감을 느끼진 못하고 있다”며 “아내 산드라의 노래를 들을 때 아들과의 마찰 부분이 너무 가슴 아프다. 아들에게 모진 소리를 한 것들이 후회가 되고 왜 그렇게밖에 표현하지 못했을까 생각한다“라며 역할에 공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왼쪽부터, 배우 박호산, 구원영, 남경주, 김지우, 손준호
왼쪽부터 배우 이창용, 김환희, 김성철
에드워드의 아들로 한때는 아버지를 우상으로 여기며 자라왔지만 줄곧 허풍만 늘어놓는 아버지에게 의구심을 품고 진실을 찾아가려는 기자 윌은 이창용과 김성철이 연기한다. 아들 ‘윌’은 ‘‘진실’을 찾다 ‘인생’을 발견하게 된다.
아들 역의 김성철은 “극중에서 윌은 진실을 찾기 위해 아버지한테 대들고 싸운다기 보다는, ‘진실’을 계속 아버지에게 갈구하는 아들이다. 마음은 이해하지만 방법이 싸우는 것 밖에 안 돼 속상하더라. 그래도 윌의 마음을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작품에 동화된 모습을 보였다.
실제 뮤지컬 연습 중 득남해, 생후 51일 된 아들의 아빠이기도 한 이창용은 “극 중 아이의 초음파 사진 장면을 보는 신은 실제로 경험해본 신이라 그런 면에선 어렵지 않았다”고 감동적인 일화를 전했다. 이어 “ 한편으론 제가 살아온 것과 제가 살아오지 않은 인생의 다름을 찾아가는 과정이 흥미로웠다. 더 좋은 디테일을 찾아서 해보겠다”고 작품에 임하는 자세를 전했다.
이외에도 뮤지컬 ‘베르나르다 알바’로 제 3회 한국뮤지컬어워즈에서 신인상을 거머쥔 신예 김환희가 따뜻한 심성을 가진 사랑스러운 여인 ‘윌 블룸’의 약혼자‘조세핀’ 역으로 무대에 오른다. 김환희는 “매 무대에서 행복하게 공연하고 있다”며 좋은 무대에 설 수 있음에 감사함을 밝혔다.
팀버튼 감독의 판타지 영화와는 또 다른 뮤지컬을 예고했다. 연출가 스캇 슈왈츠 역시 ‘팀버튼의 빅피쉬는 잊어라’고 선언했을 정도. 에드워드 역의 남경주는 “영화의 판타지와 경쟁하겠다는 마음은 없다. 영화와 완전히 다른, 라이브 무대만이 가진 ‘빅피쉬’의 매력이 있다”고 자신했다.
남경주는 “무대에서의 판타지는 음악적으로 더 작용했다. 배우들도 ‘울컥’할 정도의 음악 덕분에 인물로 더욱 집중할 수 있었다. 관객들 역시 이런 감정선들에 공감해줄 거라 믿는다. ”고 설명했다.
김지우 역시 “요즘 뮤지컬들을 보면 특수한 디지털 기술을 많이 사용하지 않나. 반면 ‘빅 피쉬’는 아날로그적인 부분에서 굉장히 힘을 받고 있다. 다양한 나이 대를 오가며 연기하는데, 기계적으로 움직이는 것도 좋지만 사람이 직접 수동으로 움직이면서 마음이 동화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또한 “관객들이 이런 아날로그적인 마음들을 같이 느껴주시는 것 같아 감사하게 공연하고 있다”고
한편, ‘빅피쉬’는 2020년 2월 9일까지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에서 만날 수 있다.
[사진=CJ ENM]
/정다훈기자 sestar@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