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가 사상 최고점을 넘어서는 등 글로벌 증시 강세장이 이어지자 국내 해외주식 투자자들 사이에서 내년 해외주식 투자 방향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이에 대해 국내 주요 증권사들은 공통적으로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증시가 적어도 내년 상반기까지 강세장을 이어갈 것이라는 견해를 내놨다. 주요국들이 통화완화 정책의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는데다 최근 미중 무역전쟁이 1차 합의에 다다른 것이 증시에 큰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글로벌 경기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해외주식 투자는 내년에도 긍정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내 자산배분 전략가들 사이에서는 미국과 중국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게 유리하다는 조언이 나온다.
◇선진국 ‘원픽’은 미국…추가 상승 여력 충분=전문가들은 내년 유망한 해외주식 투자처로 미국을 ‘원픽(One-Pick)’으로 꼽고 있다. 오태동 NH투자증권 투자전략부장은 “글로벌 경기에 대한 저점 인식과 미중 무역합의 등으로 내년 상반기까지 주요국 증시는 상승 기조를 보일 것”이라면서 “선진국 중에서 하반기까지 긍정적인 전망을 유지하는 곳은 미국”이라고 말했다. 이같이 낙관적인 견해는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가 이어지고 미국의 기업실적이 회복할 것이라는 전망에 근거한다. 유승민 삼성증권 글로벌투자전략팀장은 “미국 기업실적에 대한 시장 기대치는 2019년 3·4분기를 저점으로 인식하고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다”면서 “내년에도 통화 완화적 스탠스가 유지되고 미중 무역합의가 제조업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했다. 다만 S&P500지수가 올해 들어 약 28%나 뛰어 눈높이 조절이 필요하다는 전망도 있다. 이재만 하나금융투자 투자전략팀장은 “미국의 경우 최근 너무 많이 올라 비중을 확대한다는 차원보다 기존에 보유한 비중을 유지하는 것도 괜찮은 수익률을 내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투자 유망 섹터는 정보기술(IT)·헬스케어 등 전통적으로 미국 시장에서 강세를 보였던 종목들이다. 유승민 팀장은 “넷플릭스·디즈니 등 미디어 관련 업종들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백찬규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시장에서 조정이 있을 때 관련 ETF 매수를 늘려가는 전략을 추천한다”고 했다.
◇신흥국 투자는 중국 중심으로=신흥국 중에서는 중국에 대한 낙관적인 기대가 많다. 중국의 경우 올해 미중 무역분쟁 여파와 경기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 등으로 다소 주춤한 모습도 있었다. 하지만 최근 미국과의 무역협상에서 1차 합의를 이룬데다 중국 정부가 경기 부양책을 시행하면 상승세를 펼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또 올해 증시의 상승세가 크지 않았던 것을 감안하면 글로벌 주요국 대비 중국 시장의 저평가 매력이 높다는 점도 긍정적이라는 평가가 많다. 유승민 팀장은 “미중 무역협상이 1단계 합의에 성공했고 최근 중국 정부가 경기 부양에 강한 의지를 나타냈다”며 “소비재와 IT, 인프라 섹터 등이 증시 상승을 이끌 것”이라고 했다. 이재만 팀장은 “위험선호도가 높은 투자자의 경우 기대수익률이 높은 신흥국 쪽의 비중을 넓혀가는 것이 더 좋다”면서 “결국 신흥국 투자에서는 중국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고공행진한 러시아·브라질…비중 확대는 글쎄=올해 주요국의 증시 상승률로만 보면 러시아·브라질 등 신흥국이 압도적이다. 실제 러시아 RTS지수 상승률은 42.92%(12월 20일 기준)에 달하고 브라질 보베스파지수 상승률도 30.98%에 이른다. 인도 센섹스지수 역시 15.56%나 상승했다. 이 기간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신흥국(EM)지수가 14.68% 오르고 국내 코스피지수가 약 8% 올랐다는 점과 비교하면 상승세가 강했다는 의미다. 이들 국가의 중앙은행이 공격적으로 통화 확대에 나섰고 재정건전성이 개선되고 있다는 점 등이 시장에 호재로 작용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특히 러시아의 경우 유가가 올해 30% 이상 오른 것도 증시를 상승으로 이끌었다. 다만 그렇다고 해서 국내 투자자들이 섣불리 공격적으로 나서기에는 위험하다는 조언이 많다. 백찬규 연구원은 “당장 신흥국 일부 국가의 수익률이 높다고 하더라도 환 변동을 감안하면 높은 수익률을 장담하지 못해 대체로 추천하지 않는다”고 했다. 유승민 팀장은 “자산배분 차원에서 비중 조절을 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지만 오히려 특정 국가별로 자산배분을 하는 것보다 산업별로 자산을 배분하는 것이 더 옳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완기기자 kingear@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