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우환·박서보·정상화 '작품값 상승 100대 작가' 선정

美 미술매체, 10년치 자료 분석
작품값 많이 뛴 작가 100인 선정
100만弗 넘는가격에 작품 팔려
각각 21위·53위·90위에 올라

(왼쪽부터) 이우환 ‘선으로부터(No.800152)’, 박서보 ‘묘법 No.18-81’, 정상화 ‘무제 96-12-5’. /서울경제DB

‘단색화 3인방’으로 불리는 이우환, 박서보, 정상화가 지난 10년간 세계 미술 시장에서 작품값이 많이 오른 미술가 100인에 이름을 올렸다.

미국의 미술전문매체 아트넷은 자체 가격분석 시스템에 기반해 ‘지난 10년간 작품값이 가장 많이 상승한 작가 100명’을 최근 발표했다. 한국인 작가로는 이우환(21위), 박서보(53위), 정상화(90위)가 선정됐다.

이들은 이른바 ‘단색화’로 불리는 1970년대 단색조 회화의 대표 작가들로, 지난 2012년 국립현대미술관의 ‘단색화전(展)’ 이후 2015년 베니스비엔날레 특별전을 통해 해외 미술계에 소개되면서 미술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한국 추상화의 원조 격인 김환기를 필두로 이들 외에 정창섭·윤형근 등이 함께 시장의 재조명을 받았고, 2014~2016년 3년 동안 경매시장에서 작품값이 평균 10배나 상승하는 기염을 토했다.


한국을 대표하는 화가 이우환은 서울대 미대를 중퇴하고 일본으로 가 미학자로서 ‘모노하(物派)’의 이론적 배경을 만든 것으로도 유명하다. 위작 유통의 구설에 휘말리기는 했지만 뉴욕 구겐하임 회고전, 베르사유궁전 개인전 등 굵직한 미술기관의 러브콜을 받았다. 지난 2012년 서울옥션 홍콩경매에서 1977년작 ‘점으로부터’가 약 26억원(수수료 포함)에 팔려 작가 최고가 기록을 세웠으며 2014년 소더비 뉴욕경매에서는 1976년작 ‘선으로부터’가 약 25억원에 거래됐다. 지난 10월에는 1984년작 ‘동풍’이 20억7,000만원에 낙찰돼 대표작인 점·선·바람 시리즈가 고루 인기를 얻고 있다.

53위를 차지한 박서보는 1999년만 해도 경매에서 600만원 짜리 한 점이 팔릴 정도였지만, 지난 2016년 경매에서는 1981년작 ‘묘법’이 11억 원에 팔려 격세지감을 실현했다. 90위에 이름을 올린 정상화도 2010년 이전까지는 경매와 판매 모두 저조했으나 2015년 경매에서 2005년작 ‘무제’가 11억원에 낙찰됐다. 국내 생존작가 중 100만 달러 이상에 작품이 팔린 ‘밀리언 달러’ 작가는 이들 셋 뿐이다. 박서보는 지난 7월 국립현대미술관에서 대규모 회고전이 열렸을 뿐 아니라 화이트큐브,페로탱 등 세계적인 화랑에서 전시를 이어가고 있다. 지금은 부산 조현화랑의 달맞이점과 해운대점에서 각각 구작과 근작을 전시 중이며, 내년에는 국제갤러리에서 개인전이 예정돼 있다. 40년 가까이 갤러리현대와 의리를 지켜온 정상화는 현재 뉴욕 레비 고비갤러리에서 개인전이 한창이다. 1960~70년대 초기작만 모은 전시가 내년 1월까지 열린다.

2010년대에 작품값이 가장 크게 상승한 작가명단의 꼭대기 자리는 조나스 우드가 차지했다. 1977년생인 우드는 2011년 경매시장에 등장할 때만 해도 작품값이 5만 달러 정도였다. 이후 식물을 주인공으로 한 실내풍경화가 2015년 런던 경매에서 5억5,000만원에 팔리면서 작품값이 급격히 상승했고 지난 5월 경매에서는 그림 한 점이 60억원에 팔려 10년 새 100배 수준으로 올랐다. 뉴욕의 낙서화가에서 세계적 유명인사가 된 카우스(KAWS), 일본의 여성화가 쿠사마 야요이가 각각 2,3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뉴욕 경매에서 ‘예술가의 초상’이 9,031만 달러(약 1,020억원)에 팔린 데이비드 호크니는 10위에 올랐다. 얼굴도 국적도 알려지지 않은 괴짜 작가로 경매에서 자신의 작품이 낙찰되자 기계를 작동시켜 그림을 갈갈이 찢어버린 뱅크시가 18위, 유럽의 전통을 미국화가 특유의 재치로 그려내 지드래곤 등 젊은 컬렉터층에서도 사랑받는 조지 콘도가 19위를 기록했다.

국내 컬렉터 사이에서도 인기가 많은 게르하르트 리히터(66위), 이미 크뇌벨(77위), 아니시 카푸어(80위), 우고 론디노네(86위), 제프 쿤스(87위) 등도 리스트에 포함됐다.
/조상인기자 ccsi@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