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도 중국"...제조·소비재·금융업종별 '핀셋 전략' 짜라

中, 친환경차 등 미래산업도 선두
현대모비스, R&D·생산·품질 등
전과정 현지화로 로컬차 업체 공략
현지기업 손잡고 합작법인 등 설립
가격 경쟁력 갖춰 리스크 최소화
내년 中외상투자법 전면시행 앞둬
사회적 책임 주력해 신뢰 얻어야

현대모비스가 지난 11월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국제 수입박람회’에서 현지 완성차 업체 공략을 위한 ‘5대 현지 특화전략’을 발표했다. 사진은 현대모비스 관계자들이 국제 수입박람회 자체 부스에서 현지 완성차 업체 관계들을 대상으로 영업활동을 벌이는 모습./사진제공=현대모비스
중국 시장이 ‘기회의 땅’에서 ‘위기의 시장’으로 바뀌었지만 기업들은 쉽사리 떠날 수 가 없다. 중국이 세계의 시장으로 성장한 것은 이미 오래전이고 인공지능(AI), 5G, 친환경차 등 미래 산업에서도 글로벌 1위 시장으로 올라서 있기 때문이다. 국내 대기업들은 ‘그래도 중국밖에 없다’며 새로운 활로를 개척하기 위해 기업별로 생존 전략을 짜고 있다. 국내 기업들의 수출 물량 중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5% 수준. 정귀일 한국무역협회 연구원은 “미중 분쟁, 경기하락, 단가상승 등 중국 내 사업여건 악화로 국내 기업들의 중국사업 전략이 조정되고 있다”면서도 “고령화, 인구감소로 국내 시장이 성장에 한계를 맞으며 기업들에게 중국 내수시장은 여전히 매력적”이라고 말했다.

기업들의 중국 시장 전략은 위기관리와 업그레이드 된 현지화다. 최근 중국 시장은 무역전쟁이 낳은 투자심리 위축과 금융시장 불안 때문에 불안정성이 증가했다. 국제통화기금(IMF)과 월가 투자은행이 예측한 중국의 내년 성장률은 5.8% 수준. 올해 전망치(6.1%)보다도 0.3%포인트 낮다. 중국이 성장통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들의 현지화 전략은 개발 단계에서부터 중국시장의 특성을 고려하고 있다.

LG화학(051910)은 중국 업체와 손을 잡고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를 생산하며 세계 3대 전기차 시장 중 하나인 중국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중국 현지화 전략에서 우리 기업들이 최근 집중하는 분야는 사회적 책임(CSR)이다. 미중 무역분쟁 이후 중국 정부의 주요 외자기업 정책 변화가 전환점을 맞을 것으로 예상, 이에 앞서 국내 기업들은 중국 정부와 소비자에게 신뢰를 쌓는 것이다. 중국사회과학원에 따르면 ‘중국기업사회책임(CSR)발전지수’에서 국내 기업들은 꾸준히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외자기업 가운데 삼성전자, 현대차, LG, 포스코가 1,2,4,5위를 기록했고, 삼성전자는 중국 기업을 포함한 전체 순위에서도 2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중국 정부는 내년부터 외국 기업들의 기업환경을 적극적으로 개선하는 외상투자법을 전면 시행할 예정이다. 이는 중국 정부와 소비자의 신뢰를 얻은 국내 기업에게는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박시진기자 see1205@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