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 /AP연합뉴스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의 ‘콧수염’이 한국인들 사이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며 외교 문제로 떠올랐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16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와 영국 가디언 등에 따르면 해리스 대사는 외신 기자들과 만나 “내 수염이 어떤 이유에선지 여기서 일종의 매혹 요소가 된 것 같다”며 ‘콧수염’ 논란에 대해 직접 운을 뗐다. 그는 “내 인종적 배경, 특히 내가 일본계 미국인이라는 점에서 언론, 소셜미디어에서 비판받고 있다”고 말했다. 해리스 대사는 일본계 어머니와 주일 미군이던 아버지 사이에서 일본에서 태어났다.
미 해군 태평양사령관으로 재직하다가 2018년 7월 주미대사로 부임한 해리스 대사는 콧수염을 기르기로 한 결정이 자신이 일본계라는 혈통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고도 강조했다. 해군에 복무하던 시절 대부분 깔끔하게 면도한 모습이었던 그는 해군 퇴임을 기념해 콧수염을 기르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군인으로서의 삶과 외교관으로서 새로운 삶을 구분 짓고자” 시작한 콧수염 기르기는 뜻하지 않은 오해를 가져왔다. 가뜩이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계 미국인을 주한미국대사로 낙점했다는 사실에 무시당했다고 느낀 한국인들이 그가 한국을 모욕하기 위해 일부러 콧수염을 기르는 것은 아닌지 의심했기 때문이다. 일제시대 조선 총독 8명이 모두 콧수염이 있었다는 점을 지적하는 여론도 있었다.
한일관계가 악화 일로를 걷는 중에 해리스 대사가 부임하고, 그의 취임 후 트럼프 대통령의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를 계속해서 밀어붙이면서 이런 의혹은 더욱 커졌다. 또 그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과 관련해 한국 정부에 파기 결정을 번복하도록 압력을 행사했다는 이야기가 흘러나오며 해리스 대사에게는 ‘고압적인 미 외교관’이라는 이미지가 덧씌워졌다고 NYT는 진단했다.
이후 일부 반미 단체는 서울 주한 미국대사관 앞에서 시위하면서 해리스 대사의 얼굴 사진에 붙여둔 가짜 콧수염을 잡아뽑는 퍼포먼스를 하기도 했다. 해리스 대사는 이에 대해 “이런 사람들은 역사에서 ‘체리피킹(유리한 것만 골라 취하려는 태도)’을 하려 한다”며 “20세기 초 서구뿐만 아니라 아시아에서도 콧수염 기르기가 유행했으며 일본으로부터의 독립을 위해 싸우던 한국 지도자들도 콧수염을 길렀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양쪽(한국과 일본) 사이의 역사적인 반감을 이해한다”면서도 “난 일본계 미국인 대사가 아니라 미국 대사”라며 “출생의 우연만으로 역사를 가져다가 내게 적용하는 것은 실수”라고 반박했다.
해리스 대사는 콧수염을 자를 계획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전희윤기자 heeyoun@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