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연구원 관계자들이 방사성 물질 누출을 파악하기 위해 정밀조사를 하고 있다. /사진=원자력연구원
대전에 있는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고농도 방사성 물질이 방출돼 하천으로 흘러갔다. 하지만 언제, 얼마나 방출됐는지 파악되지 못하고 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22일 “원자력연구원으로부터 세슘137·세슘134·코발트60 등 인공방사성 핵종이 연구원 내 자연증발시설 주변 우수관으로 방출됐다는 보고를 지난 21일 받았다”면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사건조사팀을 연구원에 파견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원자력연구원은 3개월마다 하는 방사선 수치 조사를 하며 지난해 12월30일 (연구원을 관통하는) 정문 앞 하천의 토양에서 시료를 채취한 결과 방사능 농도가 증가한 것을 지난 6일 확인했다. 그럼에도 원안위에 대한 보고는 보름 뒤에 한 것으로 드러나 주민들의 불안감을 자극했다. 당시 조사에서 세슘137 핵종의 평균 방사능 농도가 최근 3년 간 0.432Bq/㎏ 미만보다 59배나 많은 25.5Bq/㎏까지 치솟은 것으로 나왔기 때문이다. 심지어 일부 토양에서는 방사능 농도가 최고 138Bq/㎏을 기록해 무려 248배나 높았다.
원자력연구원 측은 “환경이나 인체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면서도 “언제 얼마나 방출됐는지는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주민들은 해당 구역의 오염 토양을 제거했다는 설명에도 이미 방사성 물질이 퍼졌을 지 모른다고 지적했다.
KINS 조사팀은 방사성 폐기물 처리시설에서 나온 세슘이 우수관(빗물길)을 타고 하천까지 흘러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세슘이 흙에 잘 달라붙는 성질이 있어 주변 토양에서 방사능 농도가 높게 나왔고 하천의 방사능 농도는 평상시 수치(0.555∼17.9Bq/㎏)를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원자력연구원은 2011년 하나로에서 방사성물질이 누출되는 사고가 일어나 직원들이 긴급 대피했었다. 2017~2019년에는 허가를 받지 않고 핵연료를 쓰거나 방사성폐기물을 몰래 묻었다가 몇차례 과징금·과태료 처분을 받기도 했다. /고광본선임기자 kbgo@sedaily.com
대덕연구단지 원자력연구원 주변 하천 토양의 세슘137 농도 현황(단위 Bq/㎏). /사진제공=원자력안전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