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북경제] 수출, 올해 정말 오를까...‘3월 분수령’


수출이 새해 들어서도 감소 추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수출은 다를 것’이라던 정부 전망은 아직 실현되지 않은 모양새입니다. 아직 연초인 만큼 조금 더 지켜봐야 할 수도 있지만, 지난해 금융위기 이후 두 자릿수 감소를 겪을 정도로 수출 부진이 컸던 만큼 사람들의 이목이 쏠리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입니다. 올해 수출은 정말 오를 것인가. 오른다면 그 시기는 언제인가.

지난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20일까지 수출은 257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2%(4,000만달러) 감소했습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 수출이 8.7% 늘었고, 석유제품도 19.3% 증가했습니다. 반면 승용차(-6.8%), 무선통신기기(-6.2%), 선박(-42.1%) 등은 수출이 뒷걸음질 쳤습니다. 수출 상대국별로는 중동(35%)과 홍콩(9.9%), 베트남(6.7%) 등에서 호조를 보인 반면 싱가포르(-15.8%), 미국(-4.9%), 중국(-4.7%) 등으로의 수출은 줄어들었습니다.


이는 정초 나름 나쁘지 않은 스타트를 끊었던 것에서 상황이 정반대로 바뀐 것입니다. 앞서 이달 10일까지 수출은 133억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대비 5.3%(6억6,000만달러) 증가하며 반등에 대한 기대감을 키웠습니다. 그러나 불과 열흘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선 것입니다. 만일 이달 말까지 감소세가 이어진다면 수출은 지난 2018년 이후 14개월 연속 내리막길을 걷게 됩니다.


그런데 관세청 발표가 있기 하루 전인 지난 20일 문재인 대통령은 새해 첫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며 “수출 호조가 눈에 띈다”며 그 근거로 연초부터 1일 평균 수출이 증가로 전환됐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달 10일까지만 따지면 문 대통령의 말은 맞는 말입니다. 해당 기간 1일 평균 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5.3%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달 20일까지 집계 결과 1일 평균 수출은 오히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2%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물론 문 대통령은 “다만 1월 전체로 보면 설 연휴로 조업일수가 짧아 월간 집계로는 알 수 없다”고 단서를 달기는 했습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역시 지난 21일 설 명절을 앞두고 민생 점검을 위해 군산 공설시장을 찾은 뒤 기자들과 만나 “지난해에는 설 연휴가 2월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1월은 증가세가 쉽지 않다”며 “그러나 반대로 말하면 2월에는 확실히 개선세로 돌아설 수 있다는 의미”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오는 3월 수출 실적이 어떻게 나오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습니다. 3월이 올해 우리 수출의 실적을 가늠할 분수령이라는 의미입니다. 지난 한 해 25.9%나 감소하며 수출 부진의 큰 원인을 제공했던 반도체가 업황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는 점은 정부로서도 기댈만한 구석입니다. 실제 지난해 12월 17.7% 감소했던 반도체 수출은 이달 20일까지 8.8% 증가하며 일단은 플러스로 돌아섰습니다.

정세균 국무총리가 설연휴 첫날인 24일 수출 현장인 인천신항 선광 신컨테이너터미널을 방문해 선적 상황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그러나 지나친 낙관은 피해야 한다는 지적이 여전히 많습니다. 우선 미중 무역분쟁 재점화 같은 대외여건의 변수가 언제든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됩니다. 미국과 중국이 지난 16일 1단계 무역합의에 최종 서명했으나 종전이 아닌 ‘휴전’ 상태인 만큼 양국 간 무역분쟁이 재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제 지난해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한 수출 감소액은 107억달러로 추산됐는데, 이는 반도체 업황 부진(328억달러), 유가하락(134억달러)과 더불어 수출 부진의 큰 요인으로 꼽혔습니다. 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정부와 달리 민간에서는 올해 대외여건이 오히려 지난해보다 더 안 좋다고 보는 의견들도 많다. 지나친 낙관론은 지양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세종=조양준기자 mryesandno@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