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우한폐렴 대응 미적대면 제2사스 충격 온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인 ‘우한 폐렴’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 중국에서만도 우한 폐렴 확진환자가 4,500여명에 달하고 사망자는 100명을 훌쩍 넘어섰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방역전문가를 인용해 전 세계에서 감염자가 10만명에 이른다는 관측을 내놓았다. 절정기로 예상되는 4~5월에는 감염자가 수십만명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올 정도로 지구촌이 바이러스 공포에 빠져들고 있다.


우한 폐렴이 세계 경제 전반에 미치는 충격파도 심상치 않다. 28일 코스피·코스닥지수가 3% 이상 하락하는 등 글로벌 금융시장도 요동치고 있다. 특히 미국 국채 2년물과 5년물 금리가 역전되면서 경기침체기에서나 볼 수 있는 이례적인 상황까지 빚어졌다. 중국이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며 후폭풍도 훨씬 클 수밖에 없다는 불안감 때문이다. 한국 경제의 분기 성장률을 1%포인트나 떨어뜨렸던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 사태에 비해 피해가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지는 이유다.

그런데도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관계장관회의를 열어 “내수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며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208억원의 방역예산만 거론했을 뿐 국민을 안심시킬 만한 구체적인 대책은 내놓지 않았다. 허술한 검역체계 관리에 이어 경제 대응도 안이하다고 볼 수밖에 없다. 이미 중국 공장의 가동 중단이 길어지면서 글로벌 공급망에 혼란이 빚어지고 기업들의 영업활동도 타격을 받고 있다. 관광산업과 유통산업은 직격탄을 맞고 있으며 기업 실적에도 악영향이 불가피하다.

우한 폐렴 사태는 회복 조짐을 보이던 투자심리에 찬물을 끼얹었다는 점에서 심각하게 봐야 한다. 연초부터 민간 활력 회복에 역점을 뒀던 정부로서는 사태 장기화를 염두에 두고 경제 전반에 미칠 파장에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한다. 과거 사스 사태를 반면교사로 삼아 불확실한 경영환경을 개선하고 민간소비를 늘릴 획기적인 방안도 필요하다. 국민생명과 경제를 지키는 데 골든타임을 놓쳐서는 안 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