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권국가의 권위를 나타난 국새 ‘대군주보’(왼쪽)와 효종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제작된 ‘효종어보’./사진제공=문화제청
국새 ‘대군주보’(왼쪽)와 효종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제작된 ‘효종어보’./사진제공=문화제청
고종이 조선의 자주국가 실현 의지를 담아 만든 국새가 국내로 돌아왔다.
문화재청은 1882년(고종19년)에 제작됐다가 외국으로 무단 유출된 국새 ‘대군주보’가 재미교포 이대수(84)씨의 기증으로 환수됐다고 19일 밝혔다. 이와 함께 1740년(영조 16년)에 만들어진 ‘효종어보’도 함께 돌아왔다. 국새는 국권을 나타내는 도장으로, 외교문서와 행정문서 등 공문서에 사용됐다. 어보는 왕실의 권위를 상징하는 의례용 도장이다. 대군주보와 효종어보는 20일부터 3월8일까지 국립고궁박물관 2층 ‘조선의 국왕’실에서 관람객에게 공개된다.
대군주보는 사대적 외교관계를 청산하고 독립된 주권국가로 나아가기 위해 고종의 지시로 만들어졌다. 높이 7.9㎝, 길이 12.7㎝ 크기에 은색의 거북이 모양 손잡이와 인판으로 구성된 국새에는 ‘대(大)조선국’의 ‘대군주(大君主)’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이전까지 조선은 명과 청에서 ‘조선국왕지인(朝鮮國王之印)’이라는 글씨가 새겨진 국새를 받아 사용했다. ‘고종실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등은 고종이 국새를 외교 관련 업무에 사용하기 위해 제작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1883년 외국과의 통상조약 업무를 담당하는 전권대신 임명 문서와 1894년 갑오개혁 이후 대군주(국왕)의 명의로 반포된 법률, 칙령, 조칙 등에 국새가 사용된 사실도 확인됐다.
국새의 상태는 양호한 편이나 거북 손잡이 꼬리 아래에 ‘W B. Tom’이라는 영어가 새겨져 있는데, 해외로 반출된 국새를 입수한 외국인이 새겼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씨가 함께 기증한 효종어보는 효종에게 ‘명의정덕(明義正德)’이라는 존호를 올리며 제작된 것이다. 높이 8.4㎝, 길이 12.6㎝에 손잡이는 금빛 거북이 모양이다. 효종어보는 효종 승하 직후 시호를 올린 1659년과 존호를 올린 1740년과 1900년, 총 세 차례 제작됐지만, 1900년에 제작한 어보만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었다.
문화재청은 이번 환수가 ‘기증’ 형식으로 이뤄진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국새·어보는 대한민국 정부의 재산으로 소지 자체가 불법인 유물이라 주로 압수나 수사와 같은 방식으로 환수돼 왔다. 기증자인 이대수 씨는 경매를 통해 이들 유물을 매입했지만, 해외를 떠도는 국새와 어보가 도난 문화재라는 사실을 알고 지난해 12월 기증을 결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로써 정부는 조선 시대 제작된 국새와 어보 총 412점 중 339점을 보유하게 됐다. /한민구기자 1min9@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