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촌공사 직원들이 간척지 토양염도를 현장 조사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농어촌공사
염도가 높아 농사를 지을 수 없는 간척지에 일시적으로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할 수 있도록 법이 개정되면서 염도 조사기관으로 지정된 한국농어촌공사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농어촌공사는 엄격한 토양 염도 조사를 통해 농지 잠식을 방지하면서도 간척지 활용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농어촌공사는 공유수면매립을 통해 조성된 간척지에 대한 토양 염도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간척지는 토양의 염도가 높기 때문에 가뭄이나 여러 농업재해에 취약하다. 과거 쌀 자급을 위해 간척으로 확보한 농지는 하천과 바닷물로 생성된 토양이거나 바위의 작은 덩어리가 바닷물에 의해 쌓인 토양이기 때문에 가뭄이 발생했을 때 염해 피해가 발생한다. 이에 2018년 농지법 개정으로 염도가 낮아질 때까지 일정 기간 농사를 지을 수 없는 간척지는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할 수 있게 했다. 농사가 불가능한 땅을 방치하는 것보다 재생에너지라도 확보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취지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간척지 토양 분야에 대한 전문성과 공공성을 보유한 농어촌공사를 염도 조사기관으로 지정했다. 농어촌공사는 태양광 발전설비를 신청하고자 하는 간척지에서 토양 시료를 채취한 뒤 염도를 분석한다. 이후 지방자치단체가 분석 결과에 따라 사업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농어촌공사에 따르면 국내 간척지 규모는 8만 2,000㏊로 기준염도에 해당하는 간척농지는 17% 수준으로 추산된다. 다만 태양광을 설치할 수 있는 여건이 지역마다 다르기 때문에 사업면적을 확정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농어촌공사는 영농이 어렵거나 생산성이 현저히 낮은 토지에만 태양광 발전설비가 설치될 수 있도록 토양 염도를 엄격히 조사해 무분별한 태양광 시설 확대도 막는다는 방침이다. 태양광 발전설비가 설치된 간척지는 최장 20년이 지나면 원래 용도인 농지로 복구하게 된다. 현재는 공급 과잉 등으로 쌀이 남아돌지만, 향후 기후 변화에 따른 수급 불안에 대비하기 위한 조치다.
농어촌공사 관계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 조성한 간척지를 적극 활용할 경우 국내 쌀 수급 과잉 문제 대응은 물론 친환경에너지 확대를 동시에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조지원기자 jw@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