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기 자녀를 둔 카카오 사원 A씨는 2월 초순부터 본사가 아닌 자택에서 원격으로 근무를 시작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어린이집들이 휴원하자 사측이 자녀돌봄 직원 등에 대해 재택근무를 권장했기 때문이다. 사측이 26일부터 재택근무 대상을 전직원으로 확대하면서 재직자들은 자녀돌봄 걱정이나 출퇴근길 감염에 대한 우려를 덜게 됐다.
#네이버 사원 B씨도 26일 집에서 온라인으로 출근했다. 코로나19 사태 여파로 이날부터 네이버 전직원에 대해 재택근무 조치가 단행된 덕분이다. 오전 10시에 온라인에 접속해 업무 일과를 시작해 원격 화상회의, 이메일, 전화통화 등을 활용해 업무를 봤다는데 불편함이 없었다.
코로나19 사태가 불러온 직장인의 새 풍속도, ‘홈피스(home + office)’문화다. 주요 기업, 기관들이 재직자들의 감염에 따른 경영 차질을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원격근무를 시범 도입키로 하면서 직장인 업무처리의 시공간 제약이 풀려가고 있다. 현대·기아차는 서초구 본사를 비롯해 서울·경기지역 직원들을 대상으로 27일부터 다음달 6일까지 재택근무를 자율 적용키로 했다. LG, 게임사 펄비어스, 유통기업 11번가 및 티몬 등도 한시적·제한적으로 재택근무를 시험 실시하고 나섰다.
이번 기회에 아예 상시적으로 재택근무를 비롯한 원격근무시스템을 안착시키려 나선 기업도 있다. SK텔레콤이 대표적 사례다. 이 회사는 표면적으로는 지난 25일부터 오는 3월 1일까지 한시적으로 전직원 재택근무를 실시한다고 밝혔지만 내부적으로는 이번 기회에 재택근무를 정상적인 업무활동의 하나로 정착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려 한다는 게 사측 관계자의 설명이다.
코로나19 확산이 가속화돼 정부가 ‘심각’ 단계로 경계수준을 올리자 금주부터는 재택근무에 무관심하거나 도입을 주저하던 중소·중견기업, 공공·금융기관들도 도입을 서두르기 시작했다. 세계 5대 원격솔루션 기업인 알서포트에 따르면 이번주 들어 이 회사의 원격근무 솔루션 사용을 신청한 기업·기관이 500개를 넘어섰다. 알서포트 관계자는 “제조업체, 이름 있는 사무용품 렌탈기업, 투자운용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직원 감염에 따른 직장폐쇄를 우려해 저희 원격근무 솔루션을 쓰려는 기업들의 신청이 폭증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원래 저희의 원격근무 솔루션은 유료 서비스이지만 지난 설연휴를 기점으로 코로나19 확산사태가 심각해지자 비용 부담 때문에 서비스 신청을 못한 기업들도 이용할 수 있도록 오는 4월 30일까지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필요한 기업은 누구라도 이용하시라”고 설명했다.
재택근무를 포괄하는 원격근무는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업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근로방식이다. 한국정보화진흥원(NIA) 통계에 따르면 국내에서 원격근무를 채택한 사업체수는 지난 2014년 3만420개에 불과하던 것이 2016년 비약적으로 늘어 10만개를 돌파했고,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현재 12만개를 넘어선 상태다. 다만 이 같은 도입 추세 속에서도 여전히 전체 사업자중 원격근무를 도입한 사업체의 비중은 3%대(2018년말 기준)에 불과하다는 게 NIA의 분석이다.
이와 관련해 ICT업계의 한 관계자는 “중견·중소기업들은 원격근무에 대한 투자 여력이 없어 방관하다가 코로나19 사태가 터지고 나서야 부랴부랴 도입에 나서는 상황”이라며 “원격근무 시스템을 도입하려는 중소기업들에 대해 투자비용 부담을 덜어주는 정책지원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원격근무 솔루션 산업을 활성화하려면 5세대 이동통신서비스(5G)를 활용한 통신망 중 일부를 기업·기관전용 채널로 할당해 보안성과 끊김 없는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슬라이싱 허용과 같은 규제 장벽 개선이 뒤따라야 한다”고 진단했다. /민병권기자 newsroom@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