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지난해 1조3,566억 적자... 2008년 이후 최대규모

냉·난방 수요 감소로 전기판매 수익 9,000억 ↓
온실가스 배출비용 6,500억 증가, 원전 복구비용도 1,800억 늘어
실적 부진에 코로나 악재까지... 전기요금 인상 불가피


한국전력(015760)이 지난해 1조3,000억원이 훌쩍 넘는 적자를 기록하며 ‘실적 쇼크’를 나타냈다. 지난해 적자 폭은 지난 2008년 2조7,000억원 이상 적자를 기록한 이래 최대 규모다.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여파까지 겹친 터라 전기요금 인상은 사실상 예고된 수순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전력은 28일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손실이 1조3,566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전년인 2018년에 기록한 영업손실인 2,080억원보다 적자 규모가 6배 이상 늘었다. 매출은 59조928억원으로 같은 기간 1조5,348억원 감소했다.


한전 측은 전기판매 수익 감소와 온실가스 배출권 비용, 설비 투자로 인한 비용 증가를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우선 지난해 전기판매수익은 냉·난방 수요가 감소한 탓에 2018년보다 9,030억원 줄었다. 지난해 여름철(6~8월) 평균기온은 전년보다 1.3℃ 낮아 덜 더웠고, 겨울철(12~2월)은 2.2℃ 높아 덜 추웠던 영향이다.

온실가스 배출권 비용의 경우 2018년 530억원에서 지난해 7,095억원으로 13배 이상 늘었다. 지난 2015년부터 시행된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배출권 거래법)은 기업이 무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온실가스 배출량, 즉 무상할당량을 정해놓고, 이를 초과해 배출할 경우 해당 기업이 배출권을 구매하도록 하고 있다. 이 무상할당량이 지난 2018년 2억800만tCO2(온실가스를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환산한 단위)에서 지난해 1억7,100만tCO2로 18% 가량 줄었고, 이에 따라 한전의 구매한 배출권 비용이 6,500억원 이상 소요됐다는 것이다.

원전관련 복구부채 비용 역시 2018년보다 1,874억원 증가했다. 방사성폐기물 관리비용과 원전해체비용 단가가 늘었기 때문이라는 것이 한전 측의 설명이다. 드럼 당 중저준위폐기물 관리비 단가는 2018년 1,373만원에서 1,519만원으로 증가했고, 원전 각 호기 당 원전해체 충당금도 같은 기간 7,515억원에서 8,129억원으로 늘었다. 반면 국제유가 하락과 원전이용률 상승으로 연료비는 줄었다. 지난해 한전의 원전이용률은 70.6%로 2018년 65.9%보다 상승했다. 반면 정부의 미세먼지 감축 대책 영향으로 석탄이용률은 같은 기간 74.7%에서 70.7%로 감소했다.

한전 측은 올해 자체적으로 2조원 이상의 재무구조 개선 대책을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경제 직격탄으로 작용하고 있는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올해 실적 개선도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결국 한전이 전기요금 개편을 서두를 수밖에 없는 환경이라는 것이다. 김병인 한전 재무처장은 이날 실적발표 브리핑에서 ”코로나 등 영향으로 제조업 가동률이 떨어지고 전력 판매량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세종=조양준·김우보기자 mryesandno@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