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이 와중에 현금 살포할 궁리만 하나

김경수 경남지사가 8일 기자회견을 열어 “모든 국민에게 재난 기본소득 100만원을 지원하자”고 정부와 국회에 제안했다. 코로나19로 내수시장이 얼어붙는 악순환을 끊을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면서 내놓은 주장이다. 이재명 경기지사도 페이스북에 “경제 흐름을 되살리고 지속 성장을 담보할 수 있는 유일한 정책이 기본소득”이라며 김 지사의 제안에 공감을 표시했다. 두 사람 모두 소득 지원 명분으로 경제침체 극복을 제시했지만 이는 구실에 불과하다.


두 지사의 주장대로 국민 1인당 100만원씩 나눠준다면 혈세가 약 51조원이나 필요하다. 절반인 50만원씩 지원한다 해도 26조원의 예산이 든다. 이렇게 막대한 재정이 들어가는데도 자격·조건을 따지지 말고 현금을 주자는 것은 무책임한 발상이다. 현재 재정사정은 최악이다. 현 정부 집권 초기였던 2018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36%였던 국가채무 비율은 코로나 추경까지 더해지면 41.2%로 급등한다. 사상 처음으로 마지노선으로 여겨지는 40%를 넘어서는 것이다.

이런 상황인데도 김 지사는 ‘4대강 예산보다 적은 비용’ 운운했다니 어이가 없다. “고소득층분은 내년도 세금 납부 때 전액 환수하면 된다”는 발언은 소득계층 간 편가르기라는 의심도 살 만하다. 무엇보다 기본소득 지급은 빈곤 문제 해결이나 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일시적으로 소비를 자극하는 데는 도움이 되겠지만 지속 가능하지 않다.

2016년 스위스 국민들이 월 2,500스위스프랑(약 300만원)을 지급하는 기본소득 안건을 국민투표에서 압도적(77%)으로 부결시키고 핀란드에서도 비슷한 실험이 실패로 끝난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지금 지자체장이 할 일은 코로나19의 지역감염 확산 차단에 집중하는 것이다. 4월 총선을 앞두고 코로나 사태를 활용해 나랏돈을 뿌릴 생각은 그만두기 바란다. 재정 건전성과 경제원리를 무시한 현금복지는 심각한 후유증만 남길 뿐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