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N이 팬데믹이라는데…WHO가 선포를 머뭇하는 이유는

코로나19 팬데믹 기준 미비·억제책 유효 판단
H1N1 팬데믹 선포 당시 "성급·과도 대응" 비난도 부담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AFP연합뉴스

미국 CNN 등 언론이 현재 전 세계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선언했지만 정작 선포의 주체인 세계보건기구(WHO)가 이를 주저하고 있어 관심이 쏠린다.

앞서 CNN은 9일(현지시간) “현재의 코로나19 발병 상황을 표현하기 위해 팬데믹이라는 용어를 쓸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WHO는 팬데믹 선포를 주저하고 있다. 지난 1월 30일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지난달 28일에는 글로벌 위험도를 가장 높은 단계인 ‘매우 높음’으로 상향 조정했지만 유독 팬데믹이라는 단어 사용에는 신중한 모습이다.


이 같은 WHO의 행보를 놓고 다양한 추측이 제기된다. 일단 WHO에는 코로나19에 대한 팬데믹 기준이나 규정이 아직 없는 상태다.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 A(HINI)가 발병했을 당시 정해놓은 팬데믹 기준만 있을 뿐이다. WHO는 H1N1에 대한 팬데믹을 “새로운 질병의 전 세계적인 확산”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타렉 야사레비치 대변인은 “2009년 인플루엔자에 대한 새로운 (팬데믹) 정의는 만들어졌지만, 코로나19를 위한 (팬데믹 정의는) 아무것도 규정된 것이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WHO는 6단계로 구성됐던 인플루엔자에 대한 팬데믹 시스템을 더는 사용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두 번째로 팬데믹이라는 용어 사용에 대한 부담을 느끼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팬데믹을 선언하면 통상 각국이 바이러스의 억제(containment)에서 완화(mitigation)로 정책을 전환하게 된다. 억제는 의심 증상을 보이는 환자를 진단하고 격리하며, 이들의 접촉자를 추적하는 과정을 통해 전염이 확산하는 것을 막는다는 의미다. 이후 바이러스가 많이 확산해서 격리로는 방역이 불가능하거나 실현할 수 있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 완화로 전환하게 된다. 이 경우 휴교를 하거나 대규모 행사를 연기·취소되는 수순을 밟게 되는데 WHO는 현재로서는 억제책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진단한다. 마이클 라이언 WHO 긴급대응팀장은 최근 언론 브리핑에서 팬데믹 선포가 각국의 바이러스 억제를 위한 노력을 저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모든 회원국이 억제책에 몰두해야 하지만, 동시에 완화책을 펼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고 권고하고 싶다. 이것은 둘 중 하나를 선택하는 2진법이 아니다”라고 억제에 방점을 뒀다.

더불어 WHO가 지난 2009년 H1N1에 대해 팬데믹을 선포했을 때 너무 성급했다는 비판이 제기됐던 점도 한 이유로 꼽힌다. 당시 팬데믹을 선포한 이후 H1N1 사태가 예상보다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일각에서는 WHO가 일부 제약회사의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과도하게 대응을 했다고 비난했다.

다만 코로나19 발병 국가가 100개국이 넘고 확진자와 사망자가 각각 10만 명, 4,000명이 넘어서자 WHO도 지난 9일 팬데믹에 한층 더 가까워졌다고 인정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언론 브리핑에서 “팬데믹의 위협이 매우 현실화했다”고 경고했다. 이어 “그것은 역사상 처음으로 통제될 수 있는 첫 팬데믹이 될 것”이라며 “우리는 이 바이러스에 휘둘리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김기혁기자 coldmetal@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