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웃집 경찰관]“피해자 상처 보듬어…미소 되찾았을 때 뿌듯함 느끼죠”

■'피해자전담경찰관' 노선양 서울 중부서 경위

10일 서울 중부경찰서에서 노선양 경위가 피해자전담경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이호재기자

“피해자의 단칸방에는 폭행당한 기억을 잊으려 한 듯 소주병들이 널브러져 있었죠. 처음에는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두려웠어요.”

지난 10일 서울 중부경찰서에서 만난 노선양(47·사진) 경위는 피해자전담경찰관으로 처음 맡은 사건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었다. 2017년 한 여성이 고용주에게 상습적으로 폭행당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가해자는 체포됐지만 피해여성의 일상은 산산조각이 난 상태였다. 트라우마로 인해 정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했고 이 때문에 고3 진학을 앞둔 아들도 학업을 놓아야 했다.


피해자와 상담을 마친 노 경위는 곧바로 수화기를 집어들었다. 여기저기 전화를 한 끝에 피해자가 상담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관을 찾았고 생활비 문제도 해결할 수 있었다. 교육지원사업까지 받아내면서 피해자 가족은 일상을 회복했다. 몇 달 뒤 피해자가 웃는 얼굴로 찾아온 순간을 노 경위는 평생 잊을 수 없다고 했다.

피해자전담경찰관은 시민들이 범죄로 입은 피해를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 경찰관이다. 전국 경찰서에 배치된 255명의 피해자전담경찰관들은 피해자의 법률·심리·경제지원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스물여섯에 경찰의 길로 들어선 뒤 서울지방경찰청 종합상황실에서 근무하던 노 경위는 “범죄자를 체포하는 일에 그치는 게 아쉬워 2017년 중부서 피해자전담경찰관으로 지원하게 됐다”며 “피해자가 평소의 미소를 되찾았을 때 또 하나의 사건이 마무리된 것 같아 뿌듯함이 밀려온다”고 말했다.

10일 서울 중부경찰서에서 노선양 경위가 피해자전담경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이호재기자

2015년 피해자전담경찰관제도가 처음 도입됐지만 복지 사각지대에서 소외되는 피해자들은 노 경위의 고민거리였다. 그는 “외국인 노동자가 폭행당했는데 의료비 지원을 받지 못해 속이 타들어 간 적이 있다”며 “어렵사리 지원기관을 찾아 수술을 마무리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이를 통해 노 경위는 구체적인 사다리가 보여야 피해자도 안심한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다. 이 같은 사례가 모이며 이제는 경찰청에서 직접 피해자를 지원하는 제도도 많이 생겨났다.

경찰청은 지난해부터 피해자와 가해자의 화해를 이끄는 ‘회복적 경찰활동’을 시범 운영하고 있다. 노 경위는 “피해자와 가해자의 화해가 재범 방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됐다”며 “이를 위해 최근에는 심리상담 공부에도 재미를 붙였다”고 말했다. /한민구·심기문기자 1min9@sedaily.com 사진=이호재기자

10일 서울 중부경찰서에서 노선양 경위가 피해자전담경찰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이호재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