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창]금융시스템 위기 막을 빠른 대책이 필요하다

최석원 SK증권 리서치센터장

최석원 SK증권 리서치센터장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글로벌 증시가 패닉에 빠졌다. 각국 주가지수는 불과 2~3주 사이에 20~30% 떨어졌고, 심각한 확산이 나타나고 있는 유럽 일부 국가에서는 40% 이상 떨어졌다. 걱정되는 것은 이번 급락이 미국 연준의 긴급하고도 대폭적인 금리 인하와 양적 완화에도 불구하고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연준은 3월 중 정기 회의를 앞두고 두 차례의 긴급 회의에서 150bp(1bp=0.01%)에 달하는 금리 인하를 단행했고, 7,000억달러에 달하는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채권을 매입하기로 했지만, 글로벌 주식시장은 단기적인 반등으로 응답했을 뿐이다.

지금 나타나고 있는 주식시장의 흐름은 결국 코로나19 사태가 글로벌 사회와 경제에 과거 경험하지 못했던 충격을 안겨주고 있음을 시사한다. 즉, 이번 사태는 이동과 교류의 중단을 통해 공급과 수요 양 측면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고, 이동이 제한되는 한 돈을 풀어도 소비와 투자가 늘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투자자들의 심리가 급속도로 위축되고 있는 것이다. 상반기 중, 나아가 올해 전체적으로 글로벌 경제가 침체에 빠질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한 상황이다.


문제는 경기 침체가 장기화될 때 더 큰 위험으로 전이될 수 있다는 점이다. 바로 금융시스템 위험이다. 이미 미국에서는 유가 급락 이후 셰일 오일 업체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 기업들의 금리가 큰 폭으로 오르고 있고, 신용등급이 낮은 회사채의 금리 스프레드(국채금리와의 차이)도 들썩이고 있다. 특히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은행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며,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들의 은행 대출이 각종 회사채, 대출펀드로 분산됐는데, 여기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연쇄적인 기업 부도가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마찬가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른 해외여행의 감소는 이미 저가항공사와 여행사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고 있고, 호텔 등 숙박업소 역시 공실로 몸살을 앓고 있다. 이미 영세 자영업자와 중소기업, 주요 내구재의 하청업체도 어려움을 겪고 있을 것이 뻔하다. 게다가 우리나라는 경기 둔화가 시작되던 2018년에 이미 2만여 주요기업 중 이자보상배율 1 미만 기업 비중이 30%를 넘었다. 이번 사태가 지속할 경우 한계 기업의 자금 경색이 나타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가계부채 역시 마찬가지다. 우리나라 가계부채는 수년간 빠른 속도로 늘어 작년 3분기말 기준 전체 가계신용 잔액은 1,600조원, 명목 국내총생산(GDP) 규모의 97%에 육박한다. 이번 사태로 실업이 늘고, 소득이 감소할 경우 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가계가 증가할 가능성이 크고, 혹시라도 주택가격이 급락할 경우 문제가 더 심각해질 수 있다.

다행히 미국과 우리 정부 모두 이 같은 문제를 인식하고 자영업자나 한계기업의 자금난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마련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추가경정예산 중 일부를 어려운 기업을 돕는데 활용할 예정이다. 금리 인하 역시 크게 보면 대출자들의 이자부담을 경감하는 데 다소나마 역할을 할 것이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가계, 자영업자, 기업들의 부실화가 금융시스템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리고 금융시스템 위험이 불거지면, 경제는 또 다시 충격을 받을 것이다. 금융시장 안정을 최우선으로 하는 정책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