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대덕에 설치된 원자력연의 자연증발시설에서 방사성물질이 방출된 경로에 대한 설명도. /자료제공=원안위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지난해 극저준위 발사성 물질 방출 사고가 부실한 관리와 운영미숙에 따른 반복적 인재였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지난해 사고와 별도로 해당 시설에서 지난 30년간 방사성 폐기물이 지속적으로 방출된 사실도 밝혀졌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해 발생한 원자력연 자연증발시설 방사성물질 방출사건에 대해 이 같은 조사결과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원자력연에 통보했다고 20일 밝혔다. 자연증발시설은 저장된 극저준위(리터당 185베크렐 이하)의 방사성 액체 폐기물을 자연 증발시키는 설비다.
원안위는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위치한 원자력연 자연증발시설 중에서 배수시설이 과기정통부로부터 승인 받은 설계 내용과 다르게 설치·운영됐다고 분석했다. 자연증발시설 지하에 원래의 설계도에 없던 600ℓ용량의 바닥배수탱크가 설치돼 외부배관으로 연결된 상태로 1990년 8월부터 운영돼 왔다는 것이다. 시설 운전자들은 해당 시설에 바닥배수탱크가 별도로 설치돼 있었다는 사실마저 모른 채 부실하게 관리·운영해왔다고 원안위는 결론 내렸다. 원자력안전기술원(KINS)조차도 2년마다 한번 씩 실시하는 정기검사를 하면서도 지하 바닥배수탱크의 존재를 확인하지 못했다.
원안위가 폐쇄회로TV(CCTV) 영상 및 재현실험 등으로 방출량을 조사해 보니 지난해 9월 26일 필터 교체 후 밸브가 과도하게 열린 상태에서 미숙 운전까지 겹치며 2층 집수로에서 넘침 현상이 일어났다. 이로 인해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액체 폐기물 약 510ℓ가 외부에 누출됐다.
더구나 지난 1990년 해당 시설이 운영 개시된 후 매년 반복적으로 방사성 물질이 누출된 점이 이번 조사로 새롭게 밝혀졌다. 11월 동파 방지 차원에서 해당 시설을 중단한 뒤 모든 액체 방폐물을 86만ℓ용량의 지하저장조로 회수했는데 그 과정에서 연간 470~480ℓ의 방폐물이 바닥배수탱크로 유입돼 외부로 누출됐다는 것이다. 다만 동절기 이후에는 해당 방사성 물질중 대부분이 우수관 표면, 하천토양 등에 흡착돼 2019년 4·4분기 이전까지는 원자력연 외부 방사선 환경조사에서 특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던 것이 지난해 9월 26일 방출된 후 10~11월 강수량으로 인해 방사성 물질중 일부가 부지 외부로 흘러나갔다고 원안위는 설명했다.
원안위는 원자력연의 100여개 원자력 ·방사선이용시설의 인허가 사항과 시공도면이 현재 시설의 상태와 차이가 없는지 전면조사 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연구원 내 환경방사선(능)조사지점을 확대하고, 방폐물 관련 시설의 운영세스템을 최신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안위는 시설 안전강화 종합대책의 세부인행 계획을 수립해 보고하도록 했다. 해당 계획은 안전관리 조직 총괄 기능 강화, 외부 기관 주관 안전문화 점검 실시 등을 포함한다. 원안위는 자연증발시설을 비롯한 핵연료주기시설해 정기검사 횟수를 두 배로 늘릴 계획이다. 아울러 원자력연에 대한 현장 상시점검을 위한 전담조직을 설치하기로 했다. /민병권기자 newsroom@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