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근무 한달째...노사 모두 피로감 호소

효율 떨어지고 대면작업 계속 미뤄 복귀후 업무과중 우려
재택 안되는 생산부서와 협업 안돼 헛바퀴 도는 일도 많아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직원들이 20일 오전 송도국제도시 G타워 임시 폐쇄와 재택근무 결정에 따라 청사를 빠져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사태로 일선 사업장의 재택근무가 한 달째로 접어들면서 사용자·근로자들 모두의 피로감이 커지고 있다. 근로자들은 업무 효율이 떨어지고 대면이 필수적인 업무는 아예 손을 놓고 있다고 호소하고 있다. 또 이번 사태가 끝나면 미뤄놨던 ‘업무 쓰나미’가 밀려들 것이라는 우려도 크다.

22일 고용노동부의 ‘2017년 일·가정 양립 실태조사’에 따르면 원격근무 같이 근로장소에 대한 유연근무제의 도입 비율은 각각 4.7%와 3.8%에 그쳤다. 그동안 정부와 국회는 주 52시간 근로제에 대한 대안으로 탄력근로제·특별연장근로 등 ‘시간’ 중심의 유연근로제에 집중했고 근무 ‘장소’의 유연성은 사실상 논외로 뒀다. 별다르게 관심을 받지 못하던 재택·원격 근무가 코로나 19 사태로 갑작스레 도입된 셈이다.


코로나 19 확진자가 급증하기 시작한 지난달 24일 이후 정보통신(IT) 업계·대기업 등이 선제적으로 재택근무에 돌입했다. ‘길어야 2주’ 정도로 예상했던 기간이 한달 째 접어들면서 “마냥 좋지만은 않다”는 근로자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주 52시간 근로제로 15분 동안 마우스 커서가 움직이지 않으면 사유를 관리자에게 보고하는 ‘15분 관리 시스템’ 등이 그대로 재택근무로 이어졌지만 가정 내 업무 환경이 마련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IT 업계 종사자 A 씨는 “갑작스레 자취방 식탁에 앉아서 일한 지 한 달이 다 돼가는데 허리가 아프다”며 “회사였으면 관리자에게 말하고 병원이라도 가겠지만 재택근무라 눈치가 보인다”고 말했다. 출판업계 종사자 B 씨는 “재택근무에 들어가 아이를 돌볼 수 있다는 점은 좋지만 거실에서 일을 하니 업무에 집중하기가 어렵다”며 “독립적인 공간을 미리 만들어 놨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재택근무 이후에 업무가 몰릴 것으로 예상하는 근로자들이 많았다. 대기업 사원 B 씨는 “관리자와 면 대면 보고가 필수적인 프로젝트는 일단 뒤로 미뤄놓은 상태”라며 “직접적 지시가 없으면 진행하기 어려운데 이런 일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복귀하면 밀린 일을 처리하는 데 3주는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재택근무라는 ‘미지의 길’에 대한 불안감은 사용자들도 마찬가지다. 중소기업 사장 C씨는 “기획과 디자인 업무는 재택이 가능하지만 생산은 불가하다”며 “부서 간 협업이 안 돼 일이 헛도는 경우가 많다”고 푸념했다. 당장 코로나 19로 일감이 떨어진 상황이기도 해서 코로나 19가 한풀 꺾이면 밀린 조업을 몰아서 하는 것은 불가피하다는 반응이 많았다.

이처럼 재택근무가 미리 대비되지 않은 원인에 대해 ‘노사 간에 신뢰가 없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대면 중심의 전통적 업무처리 방식이 유지되고 있는데다 사업주들이 근로자의 업무 수행 과정을 확인하기 어려워 솔루션 마련 등에 적극적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전형진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은 “유연근무제가 일·가정 양립을 통해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근무형태라는 노사 간의 공감대가 있어야 유연근무제 확대의 현실화와 관련 입법 논의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세종=변재현기자 humbleness@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