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채 신속인수제 7년만에 부활 , 항공·두산重 적용 유력

산은이 발행 회사채 80% 매입
기업 부채상환 리스크 경감 기대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관련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연합뉴스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기업의 유동성 위기를 해소하기 위해 7년 만에 회사채 신속인수제도를 꺼내 들었다. 코로나19로 당장 타격이 큰 항공사 등이 첫 대상으로 손꼽힌다. 정부는 유동성 위기를 겪는 중견기업·대기업의 회사채 발행을 위한 정책금융에 약 4조원을 추가 지원할 방침이다.

24일 금융위원회가 밝힌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에 따르면 정부는 기업의 원활한 회사채 발행을 위해 회사채 신속인수제도, 산업은행의 회사채 차환발행 지원 등에 4조1,000억원을 추가로 지원한다. 세부적으로 산업은행이 2조2,000억원 상당의 회사채 신속인수제도를 시행하고 1조9,000억원 상당의 회사채 차환 발행분을 직접 매입한다.

회사채 신속인수제도는 만기도래하는 회사채 상환을 위해 기업들이 사모 방식으로 회사채를 발행하면 산업은행이 80%를 인수해 기업의 상환 리스크를 줄여주는 제도다. 지난 2001년 처음 도입된 이 제도는 2013년에도 회사채 정상화를 위해 시행됐다. 7년 만에 제도가 부활한 것은 자금경색이 중소기업뿐만 아니라 중견기업·대기업으로 확산될 우려가 크다고 봤기 때문이다.


적용 대상은 회사채 차환에 어려움을 겪는 중견기업과 대기업이다. 해당 기업이 만기도래액의 20%를 자체 상환하고 80%는 산은이 인수하는 방식이다. 이후 산은이 인수분을 채권은행·신보에 매각하게 된다. 신보는 인수한 회사채를 기초로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을 발행한다.

업계에서는 회사채 신속인수제도의 첫 대상으로 항공사를 유력하게 꼽고 있다. 코로나19의 여파로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은 일부 국제선 노선을 중단했고 무급휴직 대상을 늘리는 등 자금난이 심각한 상황이다. 수주 부진으로 경영위기를 겪는 두산중공업도 적용 대상으로 거론된다. 두산중공업은 오는 4월에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를 대출로 전환해달라고 수출입은행에 요청한 상태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지금 이 자리에서 기업명을 언급하지 않겠다”며 “우리가 갖고 있는 이 (정책) 툴로 소화되면 된다”고 말을 아꼈다.

앞서 금융당국은 1차 비상경제회의에서 6조7,000억원 규모의 P-CBO를 발행해 코로나19로 유동성 위기를 겪는 중견기업·대기업을 지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김지영기자 jikim@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