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 특수학교 설립 민·관·학 '합의'…사회적 대타협 이뤄

25일 부산대, 교육부, 부산시, 환경·장애인단체 협약
최종부지는 부산대 대운동장 인근으로 합의 이뤄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예술 중고등 특수학교가 설립된다. 부산시와 부산대학교, 교육부, 부산시환경단체·장애인부모단체가 최종 합의함에 따라 부산대 대운동장 인근에 1만4,000㎡ 규모로 지어진다./사진제공=부산대학교

그동안 난항을 겪었던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예술 중고등 특수학교’ 설립과 관련해 부산시와 부산대학교, 관련 기관·단체 간 원활한 설립에 관한 최종 합의가 이뤄졌다.

부산시와 부산대학교는 교육부와 부산시환경단체·장애인부모단체가 특수학교인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예술 중고등 특수학교’ 설립의 필요성에 공감·합의하고 향후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25일 오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은 코로나19 관련으로 정부서울청사 교육부와 부산시청을 연결해 화상으로 진행됐다.

정부서울청사에는 유은혜 교육부 장관과 윤종술 전국 장애인부모연대 회장이, 부산시청에서는 전호환 부산대 총장과 오거돈 부산시장, 김일열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범시민네트워크 회장이 참석해 부산대 부설 특수학교의 원활한 설립 추진을 위해 상호 협력할 것을 약속하고 본격적인 건립 추진을 위한 첫 걸음을 시작했다.

협약에 따라 부산대 부설 특수학교는 당초 신청한 것보다 2,000㎡ 줄어든 1만4,000㎡ 규모로 지어져 환경훼손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위치도 금정산 아래쪽으로 내려온 부산대 대운동장 인근으로 부지의 70% 이상이 공원부지가 아닌 캠퍼스 내에 자리 잡을 예정이다. 이 부지는 부산대 대운동장 인근으로 현재 공원 및 부산대 순환버스 차고지다.


부산대는 이곳을 부지로 하면서 금정산 장전공원의 보존을 위해 1만8,000㎡에 해당하는 부지에 대한 공원구역 지정에 동의한다는 내용을 이번 협약에 포함해 금정산국립공원 지정에 적극 협조하기로 했다. 또 금정산의 환경적 가치 홍보와 자연환경 보호 활동 및 교육을 위한 ‘금정산 생태환경 교육센터’ 설립 공간을 제공하는 등 금정산 환경보호에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부산대 부설 특수학교는 특수교육 시설 마련을 위한 국정과제의 하나로 진행됐다. 사회적 교육 취약계층이라고 할 수 있는 장애학생을 위한 특수학교 설립을 위해 부산대와 교육부가 지난 2018년 12월 전국 최초로 국립대 부설 특수학교 설립을 위한 설계비 13억6,000만원을 확보하면서 개교를 추진 중이다. 정원 138명의 소규모 특수학교로서 전국 단위의 장애학생이 교육받게 될 예술 중·고등학교가 마련되는 것으로 2022년 부산 설립이 추진돼 왔다.

부산대 부설 특수학교는 부산대 사범대학과 예술대학의 각종 교육연구시설 인프라를 활용해 금정산 자연숲과 연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장애학생과 시민들이 숲과 함께 쉴 수 있는 공존의 방향으로 설립된다. 그동안 부산대는 인근의 산림지역 식생 현황과 수목 수령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목군락을 최대한 그대로 보존하는 방향으로 학교 부지를 선택하고자 노력해왔다.

부산대는 지난해 6월과 9월, 12월, 올해 1월에 시민·환경·장애인단체들과 공청회 및 간담회를 개최해 특수학교 설립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자연환경 보존 방법 등 상생 방안을 마련했다. 교육부 및 부산시와도 지난해 1월부터 20차례 이상의 업무회의를 거치는 등 관련 단체 및 기관들과의 원활한 업무협조와 특수학교 설립에 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적극적인 활동을 펼쳐왔다.

지난해 9월 도시관리계획 신청 당시 부산대가 제안한 산성로 인근 부지는 관련 단체 및 기관 간 검토를 거쳐 채택되지 못했으나 이번에 부산대가 제안한 부지가 환경훼손을 최소화하고 상호 합의에 이르게 한 최종 부지로 확정되면서 이날 업무협약을 체결하게 됐다.

전호환 부산대 총장은 이날 협약식과 관련 “서로 한 발씩 양보하고 마음을 모아서 전국 최초의 국립대 부설 예술 특수학교를 설립할 수 있게 됐다”며 “부산대 사범대와 예술대의 각종 교육시설 인프라를 활용해 장애학생과 시민들이 숲과 함께 배우고 숨 쉬는 공존의 공간으로 태어날 것”이라 말했다. 오거돈 부산시장은 “이번 특수학교 설립과정은 사회적 합의를 통해 가치관의 공감대를 이뤄낸 사회통합의 롤모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