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환 NH투자증권 글로벌전략 담당 책임연구원
지난달 글로벌 주식시장의 급락세는 공포에 가까웠다. 미국 주가지수는 고점 대비 저점까지 30% 하락하는데 단 19거래일밖에 걸리지 않았다. 과거 2001년 정보기술(IT) 버블 붕괴 및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주가가 저점까지 하락하는데 약 1년 이상의 시간이 걸렸던 것과 비교하면 공포 심리는 과거 어느 때보다도 강력했다.
이번 주가의 급락 속도는 1930년대 대공황을 떠올리게 했다. 1929년 발생한 대공황은 경기 침체기 초반 주가가 급락했고, 저점까지 21개월간 하락세가 이어졌다. 대공황 당시 경기 침체는 실물경기 위축에서 시작돼 금융 시스템 붕괴로 이어졌다.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시작된 위기는 경기 침체로 이어졌고, 기업들의 신용경색 및 달러화의 유동성 부족 위험으로 전이됐다. 다행인 것은 대공황 당시와는 달리 경기 침체 초반인 현재 정책 당국의 강력한 경기 부양책들이 신속하게 시행됐다는 점이다.
코로나19 사태로 미국은 이미 경기 침체에 진입했다. 이에 따라 미국 정부와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대규모 정책을 시행 중이다. 추가적인 경기 부양책도 논의 중이라 대공황처럼 경기 침체가 장기화할 가능성은 낮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기업의 신용경색 우려는 여전하다. 수요 침체 및 공급 과잉 등으로 글로벌 유가가 배럴당 20달러선까지 하락했기 때문이다. 최근 댈러스 연준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국 셰일 업체를 포함한 석유개발(E&P) 업체의 원유 생산 손익분기점은 49.4달러 수준으로 현 유가보다 높다. 또한 유가가 40달러 수준을 유지하더라도 1년 이내 전체 E&P 업체의 약 15% 규모가 파산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에너지 업체의 신용위험 완화를 위해서는 공급 축소 및 수요 개선을 통한 유가의 정상화가 필수적이다.
보잉과 같은 대형 업체의 파산 우려도 크다. 최근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보잉의 신용등급을 BBB로 두 단계 하향했고, 이와 더불어 코로나19 여파로 투자등급 하단(BBB)의 회사채가 대규모로 투기등급(BB+ 이하)으로 강등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이 경우 미국 연준의 회사채 매입 대상(BBB- 이상)에서 제외돼 파산 우려가 커진다.
이에 따라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시행됐던 부실자산구제프로그램(TARP)이 다시 도입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는 미국 재무부가 신용경색을 막기 위한 강력한 방법으로 부실기업에 공적자금을 투입해 일정 부분을 국유화하는 정책이다. 다만 선제적으로 시행되기보다는 일부 한계기업의 부도가 발생한 후 TARP 정책이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미국의 주가지수는 고점 대비 30% 하락한 후 저점에서 반등하고 있다. 안정적인 주가 반등을 위해서는 신용경색 우려가 먼저 완화돼야 할 것이다. 과거 1930년대 대공황과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 주요 경기 침체 당시 주가는 경기가 저점을 통과하기 2~3개월 먼저 반등했던 경험이 다수이다. 1933년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의 뉴딜정책, 2009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재투자법 시행 등 그 당시 경기 침체를 부양시킬 수 있는 강력한 정책의 시행 때문이다. 이번 주식시장의 반등도 TARP 등 기업 신용위험을 낮출 수 있는 정책이 트리거가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