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꽂이-얄타 8일간의 외교전쟁]30분만에 결정된 한반도의 미래

■세르히 플로히 지음, 역사비평사 펴냄


제2차 세계대전이 막바지로 치닫던 1945년 2월 3일 유럽의 남동부 흑해 연안의 휴양지인 얄타에 프랭클린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 이오시프 스탈린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마주 앉았다. 전쟁을 일으킨 삼각동맹 중 이탈리아는 이미 항복을 선언했고, 독일과 일본은 벼랑 끝으로 몰리던 상황이었다. 이들 세 지도자는 전후 세계질서를 어떻게 재편할지를 논의하기 위해 얄타에서 8일을 함께 보냈다.


‘얄타 8일 간의 외교전쟁’은 그 8일 동안 루스벨트를 중심으로 3국 정상이 주고받은 이야기와 이들의 결정에 영향을 미친 참모들에 대해 현장감 있게 기술한 책이다. 저자는 옛 소련 출신 역사학자 세르히 플로히 미국 하버드대 석좌교수다.

국내 독자로서는 얄타회담과 관련해 한반도 분단 결정이 어떻게 이뤄졌는지가 궁금할 법하지만, 저자는 얄타에서 38선을 경계로 한 한반도 분단은 논의되지 않았다고 말한다. 루스벨트가 한국에 대한 20~30년간의 신탁통치를 제안하고 스탈린은 그 기간이 짧을수록 좋겠다고 말했을 뿐이다. 그들에게 약소국 한반도의 운명은 주요 관심사가 아니었다. 극동 문제에 할애한 시간은 고작 30분이었다. 역자인 주우크라이나 대사 출신의 허승철 고려대 노어노문학과 교수는 회담이 열린 리바디아 궁을 세 차례 방문했던 인연으로 번역을 맡게 됐다고 한다. 4만5,000원.
/정영현기자 yhchung@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