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신라젠·디스커버리, 선거 관계없이 파헤쳐라

바이오 기업 신라젠 주주와 임원들의 비리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전(前) 대표 2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항암 후보물질인 ‘펙사벡’의 임상 실패를 사전에 알고 보유주식을 팔아 이득을 챙기고 회사 자금을 횡령했다는 혐의가 적용됐다. 검찰은 신라젠이 기술특례로 상장된 경위와 횡령자금이 여권 인사들에게 흘러갔는지 여부를 들여다보고 있다. 수사 내용이 사실이라면 자본시장법을 정면으로 위반한 것일 뿐 아니라 엄청난 정치적 후폭풍을 불러올 수 있다. 범여권 실세의 비리 혐의를 확보하기 위해 방송사 기자와 현직 검사장이 유착해 이 기업의 전 대주주를 상대로 협박성 취재를 했다는 의혹도 밝혀야 하지만 이에 앞서 검은돈으로 자본시장의 뿌리를 뒤흔든 행위는 일벌백계해야 할 중대범죄다.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의 환매 중단을 둘러싼 의혹도 확산되고 있다. 디스커버리가 지난해 4월 1,800억원 규모의 펀드 환매를 중단하고 두 달 뒤 금융감독원이 검사에 착수했지만 아직 별다른 조치가 없다. 디스커버리의 최대주주는 현 정부의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낸 장하성 주중대사의 동생이다. 억측이 분분하지만 당국의 조사가 미온적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금감원은 라임자산운용의 1조원대 환매 중단에 대해서도 검사 종료 4개월 후에야 중간검사 결과를 내놓는 바람에 사태를 키웠다.

이런 상황에서 여권은 ‘윤석열 검찰총장 때리기’에 주력하며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일가의 비리 의혹을 덮으려 하고 있다. 총선이 끝난 뒤에는 여권 인사 연루 의혹이 제기된 사건 수사는 유야무야 처리될 개연성이 있다. 반면 여권의 윤 총장 사퇴 압박은 더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신라젠·디스커버리 의혹은 단순한 금융사고에 그칠 수도 있지만 권력형 의혹 사건으로 번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검찰은 4·15총선 결과를 떠나 성역 없이 이 사건들의 의혹을 낱낱이 파헤쳐야 한다. 권력의 눈치를 보느라 수많은 피해자의 눈물을 외면한다면 시장을 지키는 법치주의의 근간이 무너질 수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