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사S] 노후파산 → 소비절벽→ 내수위축 악순환 우려

노년층이 노후파산의 절벽으로 내몰리면서 내수 위축으로 인한 경기 둔화의 악순환이 반복될 것이라는 우려도 크다. 노년층이 소비를 하지 않는 것은 미래가 불안하기 때문이다. 보유 중인 자산은 쪼그라들고 미래 소득은 장담할 수 없다.


우리나라 인구의 잔여 수명은 60세 기준으로 지난 2000년 20.3년에서 2018년 25.2년으로 5년 가까이 늘었지만 노후소득은 갈수록 더 불안하다. 게다가 국민연금의 수급 연령은 점점 늦어지고 있고 인구 감소 등으로 기금의 소진 시점은 앞당겨지고 있다. 정년을 넘어서 일하는 노년층이 늘고 있다지만 비정규직 등 질이 좋지 않은 일자리가 대부분이라 소득 안정성은 극히 낮다.

실제 노년층의 자산 및 소득 감소로 인한 영향은 곳곳에서 나타난다. 노후가 불안하면 소비부터 줄이기 마련이다. 노후 파산이 소비절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던 소비성향이 2012년을 기점으로 꺾이기 시작했는데 가장 큰 이유는 고령화다. 소비성향 하락은 50대와 60대 이상 가구주에서 두드러졌다. 2012년에는 50대와 60대의 소비성향은 각각 61.6%, 62.7%로 30대 이하 가구보다 높았다. 2018년에는 각각 54.7%, 55.1%로 30대 이하 가구보다 소비가 줄었다. 소비성향이 전반적으로 하락한 것은 전체 가구주에서 60대 이상 가구가 늘어난 것과 무관치 않다. 60대 이상 가구는 2012년 25%에서 2018년 31%로 늘었다.

/탐사기획팀=김정곤기자 mckids@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