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인 삼성전자 부사장 “6억화소 이미지센서 도전”

자외선·적외선 촬영 센서 연구 중…후각·미각 센서도 준비

박용인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 센서사업팀장(부사장). /사진제공=삼성전자

박용인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 센서사업팀장(부사장)은 21일 “사람의 눈을 능가하는 6억화소 이미지센서를 포함한 무궁무진한 혁신을 위해 계속 도전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부사장은 이날 삼성전자 뉴스룸 기고문을 통해 “이미지센서의 화소 수를 늘리면서 픽셀을 작게 줄이는 트렌드는 올해에도 계속될 것이고 삼성전자는 그 중심에 서 있다”며 이 같은 포부를 드러냈다.

사람의 눈은 5억화소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 DSLR 카메라는 약 4,000만화소, 플래그십 스마트폰은 1,200만화소 이미지센서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박 부사장은 “삼성전자 엔지니어에게 기술적 한계란 좋은 동기부여이자 넘어서야 할 숙명”이라며 “보이지 않는 것도 표현하는 센서, 인간을 이롭게 하는 센서, 사람을 살리는 반도체를 향한 삼성전자의 센서 개발은 이제 시작”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사람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 영역을 넘어 자외선과 적외선을 활용할 수 있는 이미지센서를 연구하고 있다. 이미지센서가 자외선 영역을 촬영할 수 있게 되면 암조직의 색을 다르게 촬영하는 방식으로 피부암을 진단할 수 있다. 적외선 영역 촬영이 가능해지면 농업과 산업 영역에서 쉽게 불량품을 구분해 생산성 향상에도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낸새를 맡는 후각, 맛을 느끼는 미각 등 다양한 센서 개발도 준비하고 있다. 박 부사장은 “인간의 오감을 대신하고 보이지 않는 영역에도 활용되는 센서가 가까운 시일 내에 우리 일상 곳곳에 깊숙이 스며들 것으로 예상된다”며 “꿈꾸는 만큼 넓힐 수 있는 무궁무진한 세계가 바로 센서 시장”이라고 말했다.

이미지센서 기술의 관건은 픽셀의 크기를 줄이면서 성능은 유지시키는 것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5월 세계 최초로 6,400만화소 이미지센서를 개발했고 같은 해 8월에는 1억800만화소 이미지센서를 공개했다. 지난해 9월에는 픽셀 크기가 0.7㎛(마이크로미터)인 이미지센서도 업계 최초로 선보였다.
/이재용기자 jylee@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