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지나면 허물어야?...아파트도 '100세 시대'

배관·배선 등 개보수·점검 쉽게
업계, 기둥식 구조 등 기술 적용
공사비 늘어 확산까지 시간 걸려
정부 '장수명 주택' 지원 늘려야


국내 주택 노후화 문제가 현실로 다가오는 가운데 주택의 평균 수명이 100년 이상인 ‘장수명(長壽命) 주택’이 지속 가능한 공동주택의 모델로 주목을 끌고 있다. 장수명 주택은 건물의 수명을 늘리는 동시에 내장설비를 쉽게 고칠 수 있도록 만든 건물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내 주거용 주택 중 30년이 지나 주택은 전체의 46%를 차지한다. 특히 지방의 경우 50.9%로 수도권보다 노후화 비율이 높다. 지방의 경우 집값이 낮아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의 사업성이 떨어진다. 노후 주택은 노후한 채로 계속 남아있어 단지 전체가 슬럼화될 가능성이 크다.


건설업계에서는 이에 따라 집을 처음 짓는 시점부터 30년이 아닌 100년 동안 사용 가능한 장수명 주택에 대한 기술적 적용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실제 KB금융지주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평균 주택사용연수는 27년으로 미국(55년), 영국(77년)과 비교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장수명 주택의 핵심은 주택 구조를 개선해 배관과 배선 등 각종 개보수와 점검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점이다.

업계에서는 주택에 걸리는 하중을 벽체에 의존하는 기존 벽식 구조 방식이 아닌 하중 전체를 기둥으로 지탱할 수 있는 기둥식 구조를 적용하는 방식이 대안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기둥식 구조를 적용할 경우 입주자의 라이프 스타일과 취향에 맞춰 자유롭게 평면 배치가 가능하다. 수도·전기·가스 배관배선도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돼 있지 않고 경량 벽체 내부에 있어 교체 수리가 쉬워지기 때문이다. 현재의 온돌 방식인 습식 온돌 대신 건식 온돌 방식까지 적용한다면 녹물 등의 문제가 발생했을 때 시멘트 바닥 속에 있는 배관을 다 드러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고 건설업계는 보고 있다.

정부와 서울시 등도 장수명 주택 중요성에 눈뜨고 제도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준비작업이 한창이다. 하지만 업계는 여전히 비용과 인센티브 등 현실적인 문제가 남았다고 보고 있다. 정부는 2014년 말부터 장수명 주택 인증기준을 마련하고 우수등급 이상일 경우 건폐율과 용적률 혜택을 주고 있다. 장수명 주택은 비장수명 주택보다 공사비가 3~6% 늘어난다. 정부의 지원책에도 불구하고 초기 원가 부담 때문에 아직까지 장수명 주택은 주로 고급 아파트나 주상복합건물 등에서나 볼 수 있는 상황이다. 최근 대림산업이 서울 성동구 성수동에 건설 중인 초고가 단지 ‘아크로 서울 포레스트’에도 기둥식 구조가 적용됐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아파트에서 장수명 주택 우수등급 이상 인증을 만족 시킬 수 있는 조건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라며 “정부 차원에서의 추가 지원 정책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김흥록기자 rok@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