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지역 경제를 덮치면서 올 1·4분기 주요 지방은행의 중소기업·자영업자 대출 연체율 상승폭이 1년 전보다 많게는 3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대구·경남은행 등 코로나19의 피해가 심했던 지역을 거점으로 둔 은행들의 타격이 컸다. 지역 경기 침체로 고전하던 지방은행에 코로나19까지 겹치면서 2·4분기 이후 본격화할 ‘코로나 후폭풍’ 조짐이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8일 은행권에 따르면 1·4분기 말 기준 부산·대구·전북은행의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각각 0.83%, 0.92%, 0.82%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보다 각각 34bp(1bp=0.01%포인트), 26bp, 18bp 오른 것으로 1년 전 같은 기간에 비하면 연체율 상승폭이 1.5~3배 확대됐다. 연체율도 지난해 연평균 0.7% 안팎을 유지하다가 올 들어 훌쩍 뛰었다. 자동차·조선 등 제조업 대출이 많은 경남은행은 연체율이 26bp 오른 1.05%로 1%를 넘었다.
통상 은행들은 연말에 손실채권을 대거 정리하고 연초에 다시 대출을 늘리기 때문에 1·4분기에는 연체율이 오르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올해는 이런 기저효과를 감안해도 연체율 오름폭이 유독 가팔랐다. 지방은행의 한 관계자는 “특이요인 없이 연체가 자연 증가한 결과”라며 “코로나19의 영향도 일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그동안 상환유예·긴급대출 등이 대거 이뤄져 지표상 영향은 4~5월 이후 본격화할 것”이라며 “연체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지만 아직 영향을 가늠하기 어렵다”고 했다.
/빈난새기자 binthere@sedaily.com
코로나에 지방銀 더 타격...윤석헌 우려 현실로
관광·서비스업 대출 비중 높아
中企·자영업 연체위험 가능성
시중은행도 안심하기 어려워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지난달 말 취임 2주년 간담회에서 코로나19 충격에 대비해 특별히 더 신경 쓰고 있는 부문으로 지방은행을 꼭 집었다. 그는 “마지막 보루는 은행”이라며 “시중은행은 당분간 문제가 없을 것 같은데 지방은행은 옛날부터 어려웠기 때문에 신경 쓰고 있다”고 했다.
이보다 앞서 지방은행의 건전성에 경종을 울린 것은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다. 무디스는 지난 3월 말 국내에서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하기 시작하자 곧 부산은행·대구은행·경남은행·제주은행 등 지방은행 4곳의 신용등급과 평가에 대한 하향 검토에 착수했다. 당시 무디스는 코로나19의 직접적 영향을 받은 대구·경북 지역과 관광·서비스 등 취약 업종에 대한 이들 은행의 대출 규모가 큰데다 글로벌 무역·공급망 차질에 타격을 받을 수 있는 제조업 부문에도 노출돼 있다는 점을 이유로 꼽았다.
실제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은 올 1·4분기 말 기준 중소기업 대출 비중이 각각 60.4%, 60.2%에 달한다. 대구은행도 기업대출 비중이 66.9%로 30%대 수준인 시중은행보다 훨씬 높다. 자영업자와 중소기업이 연체·부실 위기에 처하면 그 리스크가 지방은행에 전이될 위험도 그만큼 높아진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 1·4분기 주요 지방은행의 중소기업·자영업 대출 연체율이 1년 전보다 최대 3배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면서 코로나19가 지방은행에 더 큰 타격이 될 것이란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 부산·대구·전북은행은 지난해 말보다 연체율이 각각 18~34bp(1bp=0.01%포인트) 올라 1년 전에 비하면 상승폭이 1.5~3배 커졌다. 지방은행의 한 관계자는 “대규모 부실, 제도적 변화 등 특이요인은 없었다”며 “코로나19의 영향이 일부 반영됐다”고 말했다.
시중은행도 안심하기는 어렵다. 신한은행의 올 1·4분기 말 기준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0.41%로 지난해 말보다 8bp 올랐다. 1년 전 같은 기간 상승폭(5bp)에 비하면 큰 폭이다. 우리은행도 지난해 말보다 5bp 오른 0.4%를 기록했다. 특히 우리은행은 1년 전 같은 기간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이 0.38%에서 0.36%로 개선됐지만 올해는 반대로 올랐다. 이번 연체율 상승은 정부의 코로나19 금융지원책에 따라 은행들이 중소기업·자영업 대출을 적극 늘리고 있는 상황에서 나타난 것이어서 우려가 더 크다. 2·4분기 이후 코로나19의 경제적 충격이 가시화하면 은행의 건전성에도 타격이 커질 수 있다.
연체율이 올라도 이를 만회할 은행의 복원력이 튼튼하다면 걱정거리가 아니다. 문제는 부실자산에 대응할 은행들의 완충능력도 함께 약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부산·경남·전북·광주·대구은행 등 지방은행 5곳의 고정이하여신(NPL) 커버리지비율 평균은 지난해 말 100.1%에서 올 1·4분기 말 98.8%로 소폭 하락했다. 금융당국의 권고치인 100% 밑으로 떨어졌다. 4대 시중은행의 NPL 커버리지비율도 같은 기간 115.7%에서 113.3%로 하락했다.
은행의 대표 건전성 지표인 NPL커버리지비율은 충당금 적립액을 3개월 이상 원리금이 연체된 부실대출(NPL)로 나눈 값으로 이 비율이 높을수록 부실자산에 대한 은행의 완충능력이 높다는 뜻이다. 통상 이 수치가 120%를 넘어야 실제 부실이 발생해 원리금을 회수하지 못하더라도 은행의 재무상태에 타격이 없다고 추정된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현재는 정책적으로 위기 기업에 대한 유동성 공급이 은행에 맡겨진 역할이기 때문에 충당금을 대규모로 적립하기 어려운 측면도 있다”며 “코로나19에 대비해 내부적으로 연체 관리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빈난새기자 binthere@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