兆단위 방사광가속기 청주에...'접근성·효율성'이 '지역균형 발전' 눌러

과기정통부 “나주, 지리적 연관성·산업 형성 정도 상대적으로 낮아”
신소재·바이오·생명과학·반도체·디스플레이·신약 개발 핵심 인프라
이시종 충북지사 "4차 산업혁명 지원",김영록 전남지사 "재심사해야"

다목적 방사광 가속기 부지 조감도. /사진=과기정통부

1조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다목적 방사광 가속기 사업에서 8일 청주 오창이 나주 혁신도시를 누르고 결정됨으로써 ‘지리적 접근성’이 ‘지역 균형 발전’ 논리를 눌렀다는 평가가 나온다. 방사광가속기는 전자가 자기장을 지날 때 나오는 태양빛보다 1조 배 밝은 거대 현미경으로, 신소재는 물론 바이오·생명과학, 반도체, 디스플레이, 신약 등 소재부품 산업의 원천기술 개발의 핵심 장비로 꼽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2022년부터 사업에 착수해 2028년 완공하기로 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는 방사광가속기의 지역 생산유발효과가 6조7,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분석했다.

청주는 한반도 한가운데에 있어 전국 어디에서나 쉽게 올 수 있을 정도로 입지가 좋다. 고속도로와 KTX 등 교통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고 청주 국제공항이 있어 전국 주요 도시 어디에서든 2~3시간 안에 갈 수 있다. 활용도가 높은 반도체 산업, 의약품·의료기기 산업·화학산업의 대부분이 수도권과 충청권에 집중돼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가까운 대덕연구단지를 중심으로 각종 연구기관이 모여 있어 방사광가속기를 활용한 사전 연구와 후속 연구가 용이하다는 점도 장점으로 작용했다. 대덕연구단지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25개 출연연의 상당부분이 밀집돼 있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이 있다.

청주 오창은 화강암반층으로 최근 20년간 규모 3.0 이상의 지진이 한 차례도 발생한 적이 없다.


이시종 충북지사는 이날 “대학과 연구기관의 기초과학 육성은 물론 모든 산업의 경쟁력을 높여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의 보고가 되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현재 국내에는 가속기 3대가 운영 중이고 추가로 2대가 구축 중이다. 경북 포항시는 3세대(원형), 4세대(선형) 가속기 2대를, 경북 경주시는 양성자 가속기 1대를 운영 중이다. 대전은 중이온 가속기를, 부산은 중입자 가속기를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영남권에 편중된 방사광가속기로는 수도권과 중부권에 집중된 방사광가속기 수요를 맞추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었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이날 “입지 선정의 전 과정이 기울어진 운동장이었다”며 강한 유감을 표명하며 재심사를 촉구했다. 그는 “그동안 여러 차례 평가항목과 기준의 개선을 강하게 요구지만, 정부는 이를 반영하지 않았다”며 “국정 목표인 국가 균형 발전 분야의 비중도 미미한 수준이었다”고 지적했다. 과학계 테크노크라트 세력의 수도권 중심사고에서 기인한 것이라며 서운함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정병선 과기정통부 1차관은 이날 다목적 방사광가속기의 목표가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극복임을 분명히 했다. 그는 “(지난해 7월 일본의 수출규제 이후)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따라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요구가 증가했다”며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 (추진)에 이르기까지 첨단산업 분야 핵심 기술 개발에 인프라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