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땀 흘리며 같이 지역 만들어갈 동료 찾는 군산 'DIT' 프로젝트

DIT로 주민참여 도시재생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줘
지역에 대한 애착 형성
공간 운영자와 주민 간 유대감 형성에 긍정적
행사를 통해 새롭게 생겨난 '관계'가 협업으로 이어져

작년 말 군산에서 진행된 ‘DIT페스타 : 작업반장’에 참여한 참가자들이 작업 도중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주)지방

빡빡한 서울 생활에 지쳐 지방으로 내려가는 젊은이들에게 가장 힘든 점 중에 하나는 ‘외로움’이다. 낯선 지방에서 직장을 구하거나 창업을 해도 마음 편히 술 한잔 기울이면서 속 이야기를 터 놓을 수 있는 친구나 동료를 찾는 건 쉽지 않다. 특히 인구 30만도 되지 않는 군산 같은 소도시에서는 함께 일하며 성장할 수 있는 마음 맞는 동료나 친구를 만나는 게 하늘의 별 따기 만큼이나 어려울 수도 있다. 그런 점에서 최근 군산에서 진행되고 있는 ‘DIT(Do It, together)’ 프로젝트는 지방에서 창업하거나 정착하려는 이들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주민참여형 도시재생사업의 한 모델로도 주목받고 있다.

작년 말 건축도시공간연구소와 로컬라이즈 군산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와이랩컴퍼니’ 등이 공동으로 기획한 제1회 행사 ‘DIT페스타 :작업반장’에는 군산에서 지역관리회사를 운영하고 있는 (주)지방을 비롯해 실력 있는 운영자들과 DIY에 관심 있는 이들이 참여했다. 첫 행사는 작년 12월 3일부터 6일까지 3박 4일간 군산 영화타운 커뮤니티 호텔과 로컬 미디어 카페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DIT 행사에서 사용된 안전모 /사진제공=건축도시공간연구소

작년말에 진행된 ‘DIT페스타 : 작업반장’에 참여한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건축도시공간연구소

‘DIT페스타 : 작업반장’에 사용된 작업도구들 /사진제공=건축도시공간연구소

‘DIT페스타 : 작업반장’에 참여한 참가자가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건축도시공간연구소

DIT는 스스로 작업하는 DIY(Do it yourself)의 개념에서 ‘함께’ 만드는 개념이 더해진 작업이다. 윤주선 건축도시공간연구소 박사는 ‘마을재생 시공학 개론, DIT건축재생’이라는 보고서에서 “공간 운영자·건축주·주민·전문가 등 다양한 지역의 주체들이 함께 건물의 리노베이션 과정에 참여하는 DIT 방식은 지역에 대한 애착을 형성할 수 있고 공간운영자와 주민 간 유대감을 형성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윤 박사는 “운영자나 지역 주민들이 시공에 대한 기술을 익혀 리노베이션이 완료된 공간의 질을 유지·관리할 수 있고, 인근의 또 다른 공간 조성으로 연계·확산 될 수 있어 마을재생에 효과가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작년 말 군산에서 진행된 DIT 행사는 그저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니라 지역 사회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프로젝트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조권능 (주)지방 대표는 “신기하긴 한데 도대체 왜 하느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며 “제가 내린 결론은 ‘마을의 메이커(Maker)들을 모으기 위해서”라고 말했다. 실제 첫 번째 DIT 행사가 끝난 이후 조 대표는 함께 고민하고 협업할 수 있는 소중한 동료들을 만났다. 군산에서 게스트하우스 ’소설여행‘과 디자인회사 ’블루머스타드스튜디오‘를 운영하고 있는 허승희 대표도 그중 한 사람이다. 허 대표는 “처음에는 공사 실무를 배워보고 싶어서 시작했는데 참여해보니 그 외에도 얻어가는 게 많았다”며 “직업 특성상 대부분의 시간을 책상 앞에서 보내는 저 같은 사람에게는 함께 땀 흘리며 느끼는 성취감과 행복이 매력적으로 다가왔으며, 앞으로 지역에서 해볼 수 있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경험해보고 이를 통해 회사의 방향성을 잡고 발전시키려 한다”고 말했다. 작년 말 DIT 행사에서 처음 만난 조 대표와 허 대표는 최근 1회 DIT 행사를 기회한 와이랩과 함께 프로젝트그룹 LMO를 만들어 두번째 DIT 프로젝트 ’Let‘s DIG!’를 함께 기획하고 운영하기도 했다. 이번에는 게스트하우스 소설여행의 방치된 정원을 꾸미는 작업이었다. 조 대표는 “DIT에 참여하면서 가장 놀라웠던 건 행사가 끝난 후에 새롭게 생겨난 ‘관계’들 이었다”며 “관계들이 협업으로 이어지고 새로운 일을 만들어 내는 것을 보며 지방 소도시를 혁신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봤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로컬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특별한 이벤트가 아닌 단단한 일상이 중요하다”며 “낙후된 지역을 개발하고, 함께 할 청년들을 찾아내어 함께 일하며 그 안에서 형성되는 관계망에 집중하는 것은 우리의 평일을 더 즐겁게 채우고 싶어서 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조권능(오른쪽에서 첫번째) (주)지방 대표와 허승희(왼쪽에서 첫번째) 블루머스타드스튜디오 대표, 김수진(오른쪽에서 두번째) 와이랩컴퍼니 대표 등이 최근 DIT 행사를 마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주)지방

최근 군산에서 진행된 두번째 DIT 프로젝트 ‘Let’s DIG!‘에 참여한 참가자들이 함께 식사를 하며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주)지방

DIT 행사에서 사용된 도구들 /사진제공=(주)지방

이처럼 DIT는 지역 기반 창업을 통해 마을 살리기를 꿈꾸는 이들을 서로 연결해주고 협업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뜻이 맞는 동료를 찾기가 쉽지 않은 군산 같이 작은 지방 도시에서는 새로운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DIT와 같은 행사가 특히 더 중요하다. 당시 행사를 기획했던 김수진 와이랩컴퍼니 대표도 사람과 공간을 연결해주는 것을 넘어 프로젝트에 함께 참여하는 사람 간의 관계에 많은 신경을 썼다. 김 대표는 “모두의 땀과 정을 묻혀 만들어낸 공간에는 ‘집단의 애착’이 생긴다”며 “공간과의 애착만이 아닌 공간을 만들어가는 사람 간의 애착이 생길 수 있도록 D.I.T에서 Do It이 아닌 ’Together‘에 집중해 프로젝트를 기획했다”고 말했다.

/군산=고병기기자 staytomorrow@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