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원유생산 규제 풀고 러는 북극권 개발하는데…

[해외자원개발 시계 다시 돈다]
中 '일대일로'로 공급 안전망 등
주요국 자원 리스크 최소화 주력

최근 OPEC+(석유수출국기구와 러시아 등 10개 산유국 연합)의 감산 과정은 자원민족주의를 잘 보여주는 사례로 꼽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유가 하락을 막기 위해 원유 수출국들이 모였지만, 각국의 이해관계가 갈리면서 감산 결정이 나오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렸을 뿐 아니라 감산 규모 역시 유가 하락을 방어하기에는 부족했다.

OPEC+회의는 에너지가 경제력 못지않은 권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이에 주요국들은 오래전부터 각국의 사정에 맞는 자원개발 정책으로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있다.


세계 최대 석유·가스 생산국인 미국은 막강한 군사력과 경제력으로 주요 에너지 소비국을 대상으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지난 2017년 12월 북극권 국립 야생구역에서 원유를 생산할 수 있도록 석유개발 금지를 해제하고 2018년 7월에는 해상 유·가스 시추금지를 완화하는 등 자원개발 확대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이밖에 자국 셰일기업을 보호하기 위해 전략비축유를 확대하는 등 적극적으로 시장에 개입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세계 2위의 천연가스 생산국인 러시아 역시 천연가스 동아시아 수출 비중 목표를 2014년 7%에서 2025년 30%, 2035년 44%까지 늘리는 신동방정책 추진과 함께 북극권 개발을 본격화하고 있다.

반면 에너지 수입국인 중국은 석유 공급안보에 집중하고 있다. 이를 위해 중국은 ‘일대일로’ 대상 국가를 포함해 산유국에 대한 광범위한 정치·경제적 지원에 나서고 있다. 중국 국가개발은행(CDB)은 자원 부국에 대규모 차관을 제공하고 자원으로 상환받는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러시아 야말 LNG 사업 지분 9.9%를 11억달러에 인수하고, 카작 유전 생산시설에 20억달러를 출자하는 등 자원확보 추진정책도 병행하고 있다.

일본은 해외자원개발 예산을 늘리고 해외 저가자산을 인수하는 등 중장기 자원안보를 위해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실제 지난 771억엔 불과했던 예산은 2017년 2,390억엔으로 세 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밖에 탐사사업 활성화를 위해 일본 석유천연가스·금속광물자원기구(JOGMEC)가 유망성 조사를 먼저 해 리스크를 줄이고 사업성이 있다고 판단될 때 민간에 사업을 이전하는 새로운 지원제도도 도입했다.
/박성규기자 exculpate2@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