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주요 공연들이 멈춰서면서 관련 단체들의 운영난이 심각해지고 있다. 서울 시내 한 공연장이 코로나19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한 공연장 소독을 진행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공연 시장의 피해가 확산하는 가운데, 공연의 취소·연기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담보하는 관련 보험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보상 대상에 ‘전염병 발생’을 예외로 하느냐에 대한 공연업계와 보험업계의 이견 조율이 관건이 될 전망이다.
한국공연예술경영협회는 지난 11일 성명을 내고 코로나19에 따른 정부 지원의 하나로 국가 주도의 행사 보험 시장 확대를 주장했다. 협회는 “시판되는 행사 보험 대부분의 보장 범위는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을 포함하지 않아 지금과 같은 재난 상황에서 그 무게감이 미미하다”고 강조했다.
자료=손해보험협회
현재 국내에선 일부 손해보험회사가 행사종합보험, 행사취소보험, 공연종합보험 등의 이름으로 행사 취소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보상하는 상품을 판매하고는 있다. 이들은 행사의 취소, 연기, 중단, 행사 기간 단축, 행사 규모 축소 등 행사 주최자의 통제를 벗어난 우연한 사고를 보험 대상으로 하며, 행사 취소·중단에 따른 순손실 금액 또는 연기에 따른 추가 비용을 보상한다. 다만, 대부분 상품은 전쟁, 정치 급변, 테러, 기후 변화 등 불가항력 자연재해, 행사 주최 측의 재정 사유, 그리고 전염병 발생에 따른 손실은 보상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스포츠 이벤트나 해외 가수의 내한 공연 같은 대규모 행사가 아닌 이상 시장 규모가 작은 국내 연극·뮤지컬, 클래식, 무용 공연은 별도의 행사 보험에 가입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손해보험협회 통계에 따르면 2017년 기준 행사종합보험 수입보험료(가입자가 낸 돈)는 3억 3,000만 원, 총 가입금액은 약 1조 1,600억 원이지만 대부분이 관련 인력의 신체 상해나 재물손해에 대한 것이었다. 손보협회 관계자는 “행사종합보험은 계약자의 요청에 따라 행사 취소 보험을 별도로 가입하는 형식으로 운영되지만, 2020년 2월 기준 가입된 행사취소보험은 0건”이라고 전했다.
공연 업계에서는 이번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전염병 발생을 보상 대상에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2016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과 이번 코로나19까지 전염병에 따른 공연시장의 경제적 손실이 반복되는 가운데 확실한 위험 보장을 위해 보상 대상을 손봐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현재 판매되는 보험에서도 전염병을 보상 대상으로 넣는 ‘특약’을 통해 위험 보장 범위를 확대할 수는 있다. 다만 이 경우 보험료가 올라가는 데다 보험사도 달가워하지 않아 영세 업체가 많은 공연 시장에서 쉽게 선택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정인영 보험연구원 연구원은 “팬데믹(Pandemic) 발생으로 대규모 행사가 취소되고 막대한 손실이 발생하고 있는 현 상황은 행사취소보험의 역할에 대한 주의를 환기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며 “향후 보험회사는 행사취소보험 시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송주희기자 ssong@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