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데이터분석플랫폼센터는 해외 주요국의 국가 연구과제 데이터 및 NTIS(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데이터를 활용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분야의 해외 R&D 투자 및 연구영역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R&D 투자 및 연구영역 동향을 비교·분석해 코로나 19에 대한 국가 R&D 기획 방향성을 정립하기 위한 지식정보를 제시했다고 20일 밝혔다.
데이터분석플랫폼센터 국가R&D전략대응형 AI의사결정알고리즘 연구팀은 미국, 유럽, 중국, 일본 등 국가별로 서로 다른 데이터를 수집·표준화해 객관적인 과학 분류체계 기반 세부 연구 영역을 도출했다. 또한 주요 연구기관, 연구과제명, R&D 투자규모, R&D 투자기간 등 코로나 19 관련 해외 연구개발 투자현황을 살펴봤다.
‘다중검출 및 현장진단 플랫폼’ 및 ‘감염에 대한 면역학적 반응 연구 및 백신 개발 관련 플랫폼 기술’로 명명된 연구개발 영역은 해외 대비 국내 R&D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ㅤㄷㅙㅅ다.
연구팀은 최근 코로나19 대유행에서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국내 진단기술과 바이러스 대응 기술의 결과들이 연구 개발 투자의 지속성 때문임을 시사하는 결과로서 향후 항원·항체 기반 다중 검출 및 현장진단 플랫폼, 백신·항바이러스 제제 개발, 바이러스 예측 기술 개발 등을 포함한 세부 연구 영역에 정부의 R&D 투자를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해외 세부 연구영역 동향 및 융합적 R&D 특성을 파악하고 국내 연구개발 투자현황 및 세부 연구영역과 매칭 및 비교·분석해 해외 대비 국내 경쟁 우위 분야 및 차별적인 연구 영역을 분석·도출햇다.
KISTI 최희윤 원장은 “코로나19 유입 초기부터 대한민국 정부는 지역사회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총력 대응을 하는 동시에 범정부 차원에서 국가적 감염병 대응 역량 확보에 필요한 R&D 투자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경제성장 동력을 준비하고 있다”며 “국내외 R&D 투자 현황에 대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정책입안자 및 해당 전문분야 연구자들에게 제공됨으로써 국가 코로나 19 연구개발 기획의 방향성을 정립하고 국가 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연구개발 투자 정책을 신속하고 합리적으로 의사결정 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