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증폭 없이도 바이러스 빠르게 확인한다

리섕·김유식 KAIST 교수 연구팀, 바이러스의 이중 나선 RNA 검출 기술 개발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빨리 진단하기 위해 길이가 긴 dsRNA를 검출하는 기판 모식도. /KAIST

국내 연구팀이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이중 나선 리보핵산(RNA)’을 이용해 감염 여부를 빠르게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현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진단을 위해 실시간 유전자 증폭(RT-PCR) 검사가 활용되고 있지만,유전자의 핵산을 증폭하는 방식이어서 결과가 나오기까지 6시간 정도 걸린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리섕·김유식 교수 연구팀이 유전자 증폭 과정 없이도 바이러스 감염 여부만을 신속하게 진단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28일 밝혔다.


RNA는 디옥시리보핵산(DNA)의 유전 정보를 전달해 단백질을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인체에는 단백질로 번역되지 않고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비번역 RNA’가 존재한다. 비번역 RNA와 상호보완적으로 결합해 이중 가닥을 형성한 것이 ‘dsRNA’인데 바이러스에서 길이가 긴 dsRNA가 특이하게 많이 발견된다.

인체 세포는 바이러스의 dsRNA를 외부 물질로 인식해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데 핵산 서열 정보는 무시한 채 dsRNA의 길이 정보에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빠르게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KAIST 연구팀이 연구실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KAIST

연구팀은 이 같은 면역 체계의 원리에 착안, 길이가 긴 dsRNA를 검출할 수 있는 기판을 만들었다. 생체 물질과 높은 반응성을 보이는 ‘펜타 플루오르 페닐 아크릴레이트’(PFPA) 고분자를 실리카 기판에 코팅, dsRNA를 포집하는 데 성공했다. 이 기판은 길이 76bp(base pair·염기 쌍 개수를 의미하는 길이 단위) 이상의 긴 dsRNA를 검출할 수 있다.

특히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세포에 존재하는 단일 가닥 RNA나 19bp 이하의 짧은 dsRNA는 검출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기판을 이용해 실제 A형과 C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에서 10분 안에 dsRNA의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데 성공했다. 김유식 교수는 “검출된 바이러스의 종류까지는 파악할 수 없지만 공항이나 학교 등 다중 밀집 장소에서 감염병 양성 반응을 빠르게 확인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바이오마크로몰레큘스’ 온라인판에 실렸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