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장쑤성 롯데마트에서 소비자들이 제품을 구입하기 위해 줄서있다. /서울경제DB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웬수’가 됐던 중국이 이제는 ‘은인’이 되어 줄까?.
중국의 코로나19 사태가 어느 정도 진정 기미를 보이면서 그동안 억눌려온 소비가 폭발하면서 현지 진출한 국내 중소기업의 실적 기대감도 부풀어 오르고 있다. 더구나 중국이 미국과의 무역전쟁 등을 계기로 내수부양에 대대적으로 나서면서 온라인 쇼핑몰을 중심으로 한 소비도 급증하고 있다.
1일 코트라(KOTRA) 등에 따르면 지난 달 중국 정부는 ‘5·5 구매절’에 240억위안(4조1,200억원) 규모의 소비쿠폰을 지급했다. 이 기간 온라인 소비총액만 400억위안(6조8,700억원)을 기록했다. 일찍 코로나19 사태를 겪은 중국은 내수부양을 위해 지난 3월부터 ‘춘절 어게인(다시 온 설날)’ 캠페인 등을 펼치며 불을 붙여 왔다.
코로나19 이후 ‘보상성 소비’ 예정인 주요 영역/자료제공=코트라(KOTRA), 장쑤성 소비자권익보호위원
눈에 띄는 설문결과가 하나 있다. 중국 장쑤성 소비자권익보호위원회가 지난 2월 말 주민 2만 1,1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90%가 “외식이나 쇼핑, 영화관람, 운동 등에 돈을 쓰겠다”고 했다. 코로나19 때문에 억눌렸던 소비를 하겠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국내 소비재 중소기업들은 중국의 보복적 소비의 최대 수혜를 입을 전망이다. 우선 전체 매출의 40%를 중국에서 벌어들이는 락앤락(115390)은 이미 수혜 영향권에 들었다.
지난 3월 매출이 전년 동월 대비 9% 상승했다. 코로나19 영향이 무색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았던 1~2월 매출이 급락하면서 1·4분기 중국 매출이 20.5% 급감했지만, 3월부터 용수철처럼 튀어 올라 전년보다 실적을 넘어서게 됐다. 온라인 매출 급증이 눈에 띈다. 2월 대비 3월 온라인 매출은 100% 증가했다. 락앤락이 온라인 판매 채널을 강화해 둔 덕분에 코로나19에도 중국 매출 피해가 없었다. 실제 락앤락의 중국 온라인 매출 비중은 2014년 19%이던 것이 지난해 49%로 급증했다.
락앤락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식품보관 용기와 살균 가전을 주력 제품군으로 밀어 선방할 수 있었다”며 “2·4분기에도 온라인 매출을 강화해 연말 실적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락앤락이 중국 현지 온라인 판매 강화를 위해 선발한 첫 현지 모델 덩룬 /사진제공=락앤락
중국 임플란트 시장 1위인 오스템임플란트(048260)도 1·4분기 매출액이 1,306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2% 소폭 올랐다. 코로나19를 감안하면 놀라운 실적이다.
영업손실을 우려했지만 41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린 것이다. 오스템임플란트 관계자는 “중국의 소비가 살아나는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며 “2·4분기에는 이연 수요 효과로 큰 폭의 매출 증가도 예상된다”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화장품 제조업자개발생산(ODM) 전문업체인 한국콜마(161890)와 코스맥스(192820) 역시 1·4분기 예상했던 것보다 선방했다. 한국콜마는 1·4분기 매출 3,753억원, 영업이익 29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4%, 5.7% 줄어드는 데 그쳤다. 코로나19로 베이징 공장이 두 달가량 멈췄지만 대신 건강식품 등 신규 사업으로 타격을 줄일 수 있었다. 위기 대응이 빨라 실적 감소세를 그나마 줄일 수 있었다는 얘기다.
코스맥스는 코로나19 와중에도 온라인 거래처를 확대한 결과 전체 매출과 영업이익이 늘었다. 매출은 3,285억원, 영업이익은 16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각각 0.2%, 18.4% 상승했다. 코스맥스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오프라인 화장품 매장의 실적은 줄었지만, 온라인 판매처를 늘려온 결과 우려했던 것보다는 선방했다”고 말했다. 더구나 지난 1월부터 손 소독제 등 방역용품 생산을 늘린 영향도 컸다. 업계에서는 코로나19가 잦아들면서 중국 중산층의 화장품 소비는 이미 정상화됐다는 분위기다.
다만 최근의 홍콩 이슈가 변수다. 미·중 갈등이 심화되면 중국의 금융시장이 불안해 겨우 살아나려던 소비가 냉각될 수 있다. 박승찬 중국경영연구소장은 “중국이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거래로 급격히 환경이 바뀌고 있는데 이에 잘 적응한 기업들은 선방할 것”이라며 “다만 미·중 분쟁이 격화되면 중국 내수시장이 다시 꺼지는 등 변수가 생길 수 있어 다양한 대응책을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재명기자 nowlight@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