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 늘려? 말아?"…독감백신 딜레마

코로나 겹쳐 올해 접종 수요 30~40% 증가 예상되지만
가격 통제로 낮은 수익성·재고 부담에 생산계획 못정해
"정부가 폐기비용 일부 지원 등 백신개발 환경 만들어야"

올 가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다시 유행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인플루엔자(독감) 백신 수요가 덩달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와 독감이 동시에 번질 경우 독감 치명률도 높아지는 만큼 백신 접종을 원하는 사람들이 늘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백신업계는 매출 상승 기대에 쾌재를 부를 법 하지만 정부의 가격 통제와 재고 부담에 오히려 골머리를 앓고 있다.

10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올해(2020~2021년) 독감 백신 수요는 지난해(2019~2020년) 약 2,000만 도즈(1도즈는 1명 접종량)보다 30~40%가량 증가한 2,700~3,000만 도즈로 예상된다. 우선 정부가 무료로 예방접종을 지원하는 대상이 기존 초등학생 이하와 임산부, 만 65세 이상 노인에서 고등학생 이하까지로 확대된다. 필수예방접종 대상자만 약 235만명이 증가하는 셈이다. 여기에 65세 미만 중년층 등 일반 성인들도 대거 접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예년과는 다른 독감 백신 접종 ‘붐’이 예상되는 이유는 코로나 19 때문이다. 코로나19와 독감 환자들이 뒤섞여 병원으로 몰려든다면 지난 3월 대구처럼 병상이 부족해 집에서 입원날짜만 기다리다 숨지는 비극이 재연될 수 있다. 기모란 국립암센터대학원 예방의학과 교수는 “매년 전 세계에서 인플루엔자(독감)로 64만명이 사망하는데 독감 시즌과 코로나19가 겹치면 그 위력은 배가 된다”고 말했다.

이처럼 우호적인 시장 환경을 만났는데도 GC녹십자(006280)와 SK바이오사이언스,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사노피파스퇴르 등 국내외 백신 제조사들의 표정은 밝지 않다. 가장 큰 이유는 가격이다. 정부가 가격을 정하는 필수예방접종은 올해 1인당 9,000원 안팎으로 시장 공급가격(1만4,000~1만5,000원)의 60~70%에 그친다는 게 업계 주장이다. 필수예방접종은 지난해까지는 독감 3개 종류를 예방하는 3가 백신이지만 올해는 유행 예상 4개종(A형 2종, B형 2종)을 모두 막을 수 있는 4가 백신으로 바뀐다. 백신은 유정란에 바이러스를 넣어 배양하는데 3가 백신은 달걀 1개가 들어간다. 4가 백신은 이보다 달걀이 0.3개 더 들어간다. 업계가 “생산비는 25% 올랐는데 백신 가격은 5% 올랐다”고 말하는 이유다. 필수 예방접종 때 매겨진 가격은 일반 접종 비용과도 상관관계가 크기 때문에 업계 입장에서는 백신을 더 많이 팔아도 수익성이 떨어진다고 걱정한다.


매년 유행하는 독감 종류가 달라져 그 해 못 쓴 백신은 모두 폐기한다는 점도 업계의 고민이다. 백신은 바이러스 배양에 걸리는 시간 때문에 업체에 따라 제조기간이 2~3개월에서 6개월에 이른다. 많이 만들어두면 폐기해야 하고, 적게 만들면 수요에 제 때 대응할 수 없다. 통상 10%가량 여유물량을 더 만들었지만, 올해처럼 코로나 19라는 특별한 상황에서는 판단이 쉽지 않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여전히 올해 생산계획을 확정하지 못했다”며 “국민 수요를 고려해 정부가 재고에 대한 부담을 일부 덜어준다면 업계가 안심하고 생산량을 늘릴 수 있다”고 전했다.

이런 고민이 코로나 19 백신 개발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문제다. 가격 통제가 엄격하고 재고 비용까지 떠안는 환경에서 백신 개발의 동기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백신을 새로 만드는데는 수백억원의 연구개발(R&D) 비용이 들어간다”며 “백신 개발과 충분한 생산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적정한 수익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진혁기자 liberal@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