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용 국가안보실장(오른쪽)이 15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 발언을 듣고 있다./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남과 북이 함께 돌파구를 찾아 나설 때가 됐다”고 밝혔다. ‘대북 삐라’를 두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군사보복’까지 거론했으나 문 대통령은 남북 협력사업을 재개해 갈등을 극복하자고 화답했다.
문 대통령은 6·15 20주년을 맞은 이날 기념식에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이 남북공동선언 서명식 당시 착용한 넥타이를 매고 촬영한 영상 축사를 보냈다. 남북 정상 간 합의의 의미를 강조한 것이다. 북한은 그러나 이날도 노동신문을 통해 군사보복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주재한 수석보좌관회의에서 “한반도 평화의 약속을 뒤로 돌릴 수는 없다”며 “4·27판문점선언과 9·19평양공동선언은 남과 북 모두가 충실히 이행해야 하는 엄숙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이 함부로 움직여서는 곤란하다고 당부한 것이다. 문 대통령은 “소통을 단절하고 긴장을 조성하며 과거의 대결시대로 되돌리려 해서는 안 된다”고 언급했다.
남북 관계가 경색된 가운데 맞이한 6·15 남북공동선언 20주년인 15일 오후 인천시 강화군 평화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의 한 마을에서 주민들이 이동하고 있다./연합뉴스
살얼음판 같은 남북 경색 국면에서 열린 회의에서 문 대통령의 표정은 경직돼 있었다. 그러나 이날도 문 대통령이 줄곧 강조한 단어는 ‘평화’였다. 문 대통령은 특히 김 위원장의 이름을 직접 언급하면서 “8,000만 겨레 앞에서 했던 한반도 평화의 약속을 뒤로 돌릴 수는 없다”고 밝혔다. 정상 간 합의 준수를 위해 김 위원장이 직접 나설 것을 촉구한 것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열린 6.15 20주년 영상축사를 통해서는 남북이 ‘작은 일부터, 가능한 것부터’ 협력을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제사회의 대북 제제가 삼엄한데도 “남과 북이 자주적으로 할 수 있는 사업도 분명히 있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연합뉴스
문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에는 ‘평화 시계’를 뒤로 돌릴 수 없다는 절박감이 깔려 있다. 문 대통령은 “남북관계는 언제든지 우리가 원하지 않는 격랑 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면서 남북 관계가 심상치 않음을 시사했다.
문 대통령이 재차 손을 내민 이날에도 북한 관영매체들은 대남 압박 수위를 한층 끌어올렸다. 노동신문은 ‘끝장을 볼 때까지 연속적인 행동으로 보복할 것이다’라는 정세론 해설을 싣고 “서릿발치는 보복행동은 계속될 것”이라고 전했다.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는 “북한이 군사적 행동에 나설 수도 있기 때문에 강력한 방위태세를 갖춰야 한다”며 “김대중 전 대통령이 서해교전에서 확전하지 않도록 지침을 내린 것처럼 명민하고도 결기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홍우·허세민기자 seoulbird@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