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자들이 지난 10일 서울 중구 서울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열린 실업급여설명회에 들어가기 위해 줄지어 서서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실업급여의 재원이 되는 고용보험기금에 정부가 4조6,740억원을 보전액 명목으로 투입한다. 이중 3조1,000억원은 공공자금관리기금에서 국채를 발행해 마련된 현금을 이자를 주고 ‘빌려오는’ 돈이다. 문재인 정부 들어 추진한 사회안전망 강화, 재정투입형 일자리 정책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쇼크까지 덮치며 기금의 재정건전성이 훼손되자 결국 끌어 쓸 수 있는 돈을 다 동원하는 셈이다.
상황이 이렇게 된 1차 원인은 ‘코로나19’라는 갑작스러운 재난이지만 문재인 정부의 주요 과제인 △사회안전망 강화 △재정 투입형 일자리 정책 사업이 기금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측면도 간과할 수 없다. 고용보험기금이 실업급여를 중심으로 작동하도록 사업을 전면 개편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커지는 적자에 4.6조 빚까지 내는 고용보험기금 |
특히 고용보험기금 사상 처음으로 공자기금에서 3조1,000억원을 보전받는데 이는 국채를 찍어 마련하는 ‘빚’이다. 공자기금에서 국채를 발행해 고용보험기금을 보전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공자기금은 공공기금에서 여유자금을 붓고 기금 재정이 고갈되면 인출·대출할 수 있도록 만든 ‘기금의 기금’이다. 공자기금에서 여타 기금에 자금을 지원할 때는 이전에 적립했던 금액을 환수하거나 여유자금, 채권발행 자금 등을 재원으로 활용한다. 공자기금도 빌려준 돈이 많아 여유가 없어지자 국채까지 발행해 돈을 마련하는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고용보험기금은 매년 남은 보험료 수익을 적립해 주식·채권 등에 투자해 왔다. 지난해 기준 남은 적립금은 총 7조3,532억원이다. 하지만 국회 예산정책처에 따르면 이미 지난해 2조877억원의 적자를 기록했고 올해는 적자 규모가 2조1,881억원(1차 추경 기준)으로 커져 적립금은 5조원대로 내려갈 것으로 전망된다. 한 고용부 관계자는 “기금은 일차적으로 여유자금이 있어야 고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며 “3조원 정도를 융통하면 여유자금을 둘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적자에 우선 빚을 내기로 결정한 셈이다.
코로나 재난 극복에 필요하다지만 '쌈짓돈 예산' 비판도 |
하지만 고용보험기금의 재정 악화를 가져온 원인 중 하나는 그동안 재정 사업으로 추진했어야 하는 사업들을 기금 재원으로 활용했기 때문이라는 비판이 만만치 않다.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에게 목돈을 만들어주기 위해 근로자·사용자·정부가 함께 적금을 붓는 ‘청년내일채움공제’나 ‘청년추가고용장려금’ 등 재정 투입형 일자리 창출 사업들이 고용보험기금을 재원으로 쓰고 있다. 출산휴가·육아휴직·배우자출산휴가 시 돈을 주는 ‘모성보호급여’도 고용보험기금에서 지출된다. 모성보호급여의 재원은 심지어 실업급여 계정에서 나간다.
서울 중구 고용복지플러스센터 /연합뉴스
특히 문재인 정부 들어 추진한 사회안전망 강화와 재정 투입 일자리 정책으로 고용보험기금 부담은 더욱 늘었다. 2년형까지밖에 없던 청년내일채움공제에 3년형이 추가(2018년 3월)됐고 성장·유망업종에만 지원되던 청년추가고용장려금도 전 업종으로 확대(2018년 6월)됐다. 출산휴가급여 상한액은 18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올랐다(2020년 1월). 육아휴직의 경우 2017년 9월 첫 3개월 급여를 두 배 인상(소득대체율 40%→80%)한 후 2019년 1월 아빠 육아휴직보너스제의 상한액을 200만원에서 250만원으로 인상했다.
노사가 보험료를 납부해 조성한 고용보험기금을 정부가 일자리·사회안전망 강화 정책에 사용해 ‘생색’을 내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임이자 미래통합당 의원은 “고용보험의 일차적 목적은 구직급여”라며 “최근 기금 고갈 우려는 재정 건전성이 담보되지 않은 사회안전망 강화 정책이 견인한 것”이라고 말했다.
"털어낼 사업 털어내고 목적 맞는 사업만 남겨야" |
하지만 고용보험기금이 각종 정책을 담는 그릇이 된 것은 정부 일반회계의 재정 건전성을 담보하기 위한 조치인 만큼 일반회계 사업으로 떼어내는 일이 쉽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당장 모성보호급여 예산만 하더라도 2016년 9,297억원에서 올해 1조5,432억원으로 폭증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모성보호급여는 여성 고용과 일 가정 양립을 위한 것으로 고용보험법이 고용보험기금에서 지출할 수 있도록 돼 있다”며 “고용부도 정부 지원을 더 해달라는 입장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세종=변재현기자 humbleness@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