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량 34% 늘었다…연준과 싸우기 힘든 이유 [김영필의 3분 월스트리트]

연준 매입자산 3개월만 2.8조달러 증가
유동성에 회사채 시장에도 거품론 나와
고용지표가 경기회복·유동성 지속 가를 듯

UBS의 알리 맥카트니. /CNBC 방송화면 캡처

23일(현지시간) 미국 증시가 또다시 상승했습니다. 다우지수가 0.5% 오른 것을 비롯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이 0.43%, 나스닥도 0.74% 올랐는데요. 끊이지 않고 나오는 버블론에도 증시가 유지되고 있는 것은 역시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때문인데요.

UBS의 프라이빗 웰스매니지먼트에서 20년 이상의 경력을 갖고 있는 알리 맥가트니는 이를 수치로 알기 쉽게 보여줍니다. 그는 미 경제방송 CNBC에 “지난 3개월 동안 통화 공급량(money supply)가 전년 대비 34%나 증가했다”며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검역이 강해진 이후 연준이 주도하는 정신없이 빠른 정책이 전세계를 떠받쳐왔다”고 했는데요.


34%라는 숫자를 들으면 “아! 그렇구나”하고 이해하게 됩니다. 실제 연준의 대차대조표만 봐도 지난 2월25일 현재 4조3,119억달러였던 연준의 자산이 지난 9일 7조1,689억달러까지 불어났습니다. 3개월여 만에 무려 66%나 급증한 것입니다. 16일에는 7조94억달러로 깜짝 감소했지만 앞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2022년까지 지금의 제로금리를 유지하고 채권 매입속도를 최소한 현수준을 유지해 국채와 모기지 보유량을 계속 늘려나가겠다고 밝혔기 때문에 큰 틀에서의 변화는 없다고 봐야 합니다. 계속 양적완화(QE)가 이뤄진다는 얘기죠.

다만, 맥가트니는 연준 이외에 앞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로 11월 대선을 앞둔 각종 갈등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2차 확산을 들었습니다. 그는 “현재 시장을 이끌어가는 요소로 다른 두 가지가 더 있다. 이들 요소는 시장에 계속 변동성도 줄 것”이라며 “아시아에서 코로나19 2차 유행이 나타나고 있지만 우리가 생각했던 것만큼 시장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고 전했는데요. 그러면서 “미시적 수준에서 연준과 싸우는 것은 너무나 힘들다”고 덧붙였습니다.

연준의 유동성 지속여부? 고용지표에 물어보라
상황이 이렇다 보니 앞서 말씀드렸듯 버블론이 계속됩니다. 최근에는 연준이 개별 회사채를 사들이겠다고 하면서 주식시장뿐 아니라 채권시장에서도 버블 공포가 커지고 있습니다. CNBC는 “연준의 회사채 매입이 다음 단계로 진입하면서 자산 거품에 대한 우려가 다시 불거지고 있다”며 “경기회복이 예상보다 더 느리게 진행된다면 더 큰 위험이 올 수 있다”고 경고했는데요. 앞서 야데니 리서치의 설립자인 에드 야데니가 “연준의 충격과 압도 전략은 놀라울 정도로 효과가 있었다”며 “당초 연준은 신용시장의 유동성을 회복하는 게 목표였는데 지금처럼 유동성을 퍼부으면 연준이 사상 최대의 거품을 만들어낼 위험이 있다”고 했습니다. 연준이 더 많은 일을 할 필요가 있겠느냐는 것이죠.

하지만 더블딥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만큼 연준은 확신이 들 때까지 당분간 유동성 공급정책을 유지할 것입니다. 이유는 고용 때문입니다. 지금이 과도한 거품이냐, 또 연준이 양적완화를 지속할 것이냐를 가르는 요소는 고용지표라고 보면 됩니다. 고용지표가 빠르게 좋아지면 경기가 실제로 좋아지고 있다는 뜻이 됩니다. 특히 고용지표의 개선은 연준이 경기전망을 긍정적으로 돌리는데 핵심 역할을 할 겁니다. 파월 의장이 코로나19가 미국 경제에 장기적인 손실을 줄 것이라고 걱정하는 데도 고용이 있습니다. 미국의 5월 실업률이 14.7%에서 13.3%로 깜짝 감소했지만 여전히 연말까지 9.3% 수준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내년에도 6.5%, 2022년에도 5.5%로 높습니다. 조이스 창 JP모건 리서치 총괄은 “눈이 튀어나올 정도였던 지표가 좋아지고 있고 일부 지표는 앞으로 한두 달 정도 꽤 좋을 것”이라면서도 “중요한 문제는 이것이 고용으로 이어지느냐”라고 지적했습니다. 향후 경기논쟁을 할 때 고용이 핵심이 될 것입니다.
/뉴욕=김영필특파원 susopa@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